취재2부 김용언 기자
취재2부 김용언 기자
"경찰 능력이 더 뛰어나고 우리는 부족합니다." 최근 공무원 부동산 투기 조사 결과를 발표하던 대전시 서철모 행정부시장의 말엔 고충이 가득했다. 시는 지역 공무원 9000여 명을 대상으로 부동산 투기 전수 조사를 한 결과 1명을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했다.

한 달 가까이 `이 잡듯 뒤져` 찾아낸 결과물이었다. 서 부시장은 "지자체가 부동산 투기 혐의를 찾아내기엔 한계가 뚜렷하다"고 토로했다. 대전시 뿐만 아니라 앞서 공무원 부동산 투기 조사를 펼친 다른 지자체들도 겪었던 어려움이다. 대전시처럼 전수 조사에 나선 지자체를 향한 시각은 대부분 회의적이었다. 공무원 본인에 국한된 조사 범위와 투기 혐의를 잡아내기 위한 촘촘한 수사력이 없기 때문이다.

마치 닻을 내려놓은 채 망망대해에서 물고기를 잡겠다는 생각이었을지 모른다. 연목구어(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함)로도 빗대진다. 전수조사를 앞두고 일부에선 기대감이 적지 않았다. 부동산 정보를 꽤 안다는 시민들 사이에선 공무원들의 수요가 집중된 세칭 `떡밥`들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다.

조사 범위에 포함된 도안 신도시는 물론 나들목 신설이 추진되는 현충원 인근까지. 세간의 전언을 모아보면 공무원들의 부동산 투기 적발이 쉽게 보였다. 하지만 `혹시나 했던 결말은 역시나`로 굳어졌다.

`공무원이 동네북`이라는 자조적인 말이 나온다. 의혹은 지자체 공무원이 받고 돈은 LH 직원이 챙겼다는 농담이 씁쓸하게 다가오는 이유다. 일견 수긍이 가는 말이다.

하지만 마냥 한탄만 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 직무 정보를 악용해 일확천금을 노린 LH 직원들 뿐이겠는가. 시민들 뇌리에는 지자체 공무원들 역시 이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는 의심이 가득하다.

이제 공직사회를 향한 경종이 울렸음을 주목해야 한다. 한 달을 고민했을 대전시를 포함해 전국 모든 지자체가 임기응변식 땜질 처방으로 위기를 모면하지 않아야 한다.

달은 차면 기운다. 이번엔 소나기를 피했을지 몰라도 적어도 앞으로는 시민들로 하여금 의심을 살 만한 행동은 하지 않아야 하지 않겠는가. 취재2부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