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들어 대전 7곳 폐교·3년 꼴로 학교 문 닫아
교육부·시교육청 "학생 위한 공간으로 활용 중"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전국적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대전을 비롯한 전국에서 폐교하는 학교들이 잇따르고 있다.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학교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더해 수도권으로의 인구 쏠림 현상 또한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은 지방 학교의 암담한 미래를 짐작케 볼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다. 이미 대전에선 3년을 주기로 폐교하는 학교가 발생, 교육당국이 폐교로 인한 유휴 부지 활용 등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5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2000년대 들어 대전에선 7곳의 학교가 문을 닫았다. 초등학교 1곳(2010년), 중학교 4곳(2002·2007·2012·2014년), 고등학교 2곳(2003·2005년)이다. 3년마다 지역의 한 학교가 폐교하고 있는 셈이다.

수도권과 비교해 지방의 상황은 더욱 열악하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폐교 학교 수는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80년대부터 점차 증가해 1990년대 이후 신도시 개발, 아파트 대단지 개발 등에 의해 수도권 등에 인구가 집중되고 지방의 지역 인구수는 급감해 1991년부턴 폐교 학교 증가 수치가 크게 늘고 있는 추세"라며 "지역별 분포에서도 지방 지역 초·중·고 학령 학생수는 30% 미만으로 폐교 학교는 앞으로도 지방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시교육청은 폐교에 따른 유휴 부지를 `학생 중심`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폐교 부지는 학교 부적응 학생 치유기관 또는 학교폭력 피해학생·학부모 교육지원 시설로 운영하고 있다"며 "이밖에도 야영체험학습장 등으로도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 차원에서도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폐교에 대해 대책을 제시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교육부는 초·중·고등학교 폐교재산이 주민을 위한 다양한 공공시설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과 함께 노력하고 있다"며 "정기적으로 폐교재산의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통해 폐교재산을 공적 용도로 활용할 경우, 다른 공유재산 대비 수의계약 허용, 추가적인 대부료 감면 등을 지원 중"이라고 밝혔다. 강정의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