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선 삽교역 신설을 요구하는 예산군민들의 정부세종청사내 기재부 정문 앞 릴레이 집회가 오늘로 80일째를 맞는다. 지난해 12월 초 한 겨울에 집회가 시작된 후 계절이 바뀌었다. 삽교역 신설 관련한 정부 당국의 전향적 태도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이 집회는 끝나지 않는다. 정책당국 눈에는 혹여 성가시게 비칠지 모르지만 지역민들 심정은 비장하다. 해법은 멀리 있지 않다. 지역민들의 합리적 주장과 요구 내용에 귀 기울여주면 된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달라는 것도 아니고 엄청난 국책사업을 예산에 달라는 것도 아니다. 삽교역 하나 신설을 결정하면 이들이 세종청사에 가서 공연히 생고생할 이유가 없다.

서해선은 홍성-경기 화성을 잇는 복선 철도로 내년 말 개통된다. 문제는 이 철도가 예산군에만 정차하지 않게 된다는 데 있다. 예산군민들로선 이런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는 노릇이다. 서해선의 충남권 정차역은 홍성, 아산, 당진 3곳이다. 철도가 통과하는 다른 시·군엔 정차역이 설치되는 반면에 예산은 무정차 지역으로 남는다. 지역민들에게 정서적 소외감을 불러일으킬 만한 정차역 배치임을 부정하기 어렵다. 철도 노선 땅만 내주고 서해선 이용 사각지대로 밀려나게 되는 상황인데 왜 그렇지 않겠나. 지난 2018년 삽교역 신설을 상정한 국토부의 사전 타당성·재무성 조사 결과도 매우 긍정적으로 나온 바 있다. 같은 사안을 놓고 기재부 의뢰를 받은 KDI는 엉뚱한 지표를 도출한 사실이 있는데, 전문가들은 일반철도로 분류함으로써 수송 수요를 낮게 예측하는 `경제성 분석 오류`라고 지적했다. 이 얘기는 삽교역 신설 문제의 경우 국토부의 사전타당성 조사 값을 신뢰해도 무방하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아무리 예산을 다루는 기재부라 해도 삽교역 신설 정책 주무부처인 국토부 판단을 배척하는 듯한 접근법은 온당치 않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더구나 삽교역 필요 부지도 국비로 매입해 놓은 마당에 역사를 짓지 않는다는 것은 이율배반이다. 땅만 수용해놓고 나중에 보자면 곧이곧대로 들릴 리 만무다.

기재부 당국의 사고의 전환을 촉구한다. 삽교역은 내포혁신도시의 관문인 만큼 예산 논리에만 갇혀있으면 안된다. 얼마나 답답했으면 충남도와 예산군이 역 신설 예산을 분담할 용의가 있다고 했겠는가.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