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 개발 전환·현부지 심각한 교통체증 등 우려
대체 부지 필요성 제기… 대전시, 계획변경 난색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조감도. [그래픽=대전일보DB · 사진=대전시 제공]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조감도. [그래픽=대전일보DB ·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지역 최대 현안인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이 11년째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한 채 공전을 거듭하면서 `재창조` 수준의 전면 재검토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여객터미널이라는 주요 교통 인프라는 일단 건립 이후엔 되돌릴 수 없는 불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제에 지난 11년 세월의 누적된 지역 여건 변화와 함께 도시 성장과 확장성을 종합적으로 재반영해야 한다는 공익적 요구로 받아들여진다. 유성구 구암동 일원 부지에서 터미널 등 공공시설에 더해 쇼핑이 가능한 상업유통시설 등을 `복합` 개발하겠다던 당초의 장밋빛 청사진이 백지화되고,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가 주도하는 `공영` 개발로 전환되는 특단의 사정변경이 있었다는 점에서 부지 이동, 즉 대체부지 물색에 대해 전향적인 접근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담겨 있다.

유성복합터미널 건립사업은 2010년 3월부터 2017년 8월까지 4차례에 걸친 민간사업자 공모가 모두 무산되는 것으로 민간에 의한 복합개발 방식은 막을 내렸다. 사업성 부재와 대전시 행정의 난맥상이 빚어낸 대표적인 정책실패 사례로 꼽힌다. 지난해 10월 대전시가 꺼내든 후속카드는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공영` 개발이었다. 시는 층수제한을 기존 10층에서 20층 이상으로 완화하는 동시에 건축용도도 공동주택을 허용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민간공모 당시 대부분 사업자들이 요구했던 높이제한과 주거시설 규제완화를 공영개발 명분으로 모조리 풀어주겠다는 건 공공이 스스로 특혜를 누리며 목 좋은 지하철역 역세권에 고층 아파트를 지어 `분양장사`를 하려는 게 아니겠느냐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유성복합터미널 건립사업의 원점 재검토 여론은 여기서 출발한다.

이와 함께 대전 서부권내 흩어져 있는 버스터미널과 정류장을 통합해 시민 교통 편익을 높이며 쇼핑·문화·휴식 등 복합기능을 두루 갖춘 복합터미널을 만든다는 `구암동 입지론`도 흔들리고 있다. 대전 서부권 관문으로 고속·시외버스, 시내버스, 도시철도 등 교통수단간 연계는 지하철 구암역 부지만의 독보적인 특장점으로 보기 어려운데다 유성시장 인근 장대지구 재개발 등이 현실화하면 5000채 넘는 대규모 주거시설이 공급돼 교통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구암역 네거리 일원은 대전에서 악명 높은 상습정체지역으로 꼽힌다.

대전시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현충원 나들목(IC)`도 유성터미널 입지의 중대 변수로 거론된다. 유성대로에서 중단된 동서대로를 수통골까지 연장하고 호남고속도로와 교차 지점에 나들목을 추가 조성한다는 게 핵심이다. 2019년 기준 일 평균 진출입 차량으로 대전IC(5만 2822대)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유성IC(4만 5361대)의 차량 쏠림을 분산하면서 앞으로 줄줄이 예고된 도안 2·3단계 개발에 따른 교통량 증가 대응이 목표다.

포화 상태에 다다른 국립대전현충원의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10만 663기 안장 능력을 갖춘 대전현충원 묘역은 지난해 10월 기준 전체 93.6% 묘역이 찼다. 묘역 대신 만들어지고 있는 납골식 봉안당이 완공되면 이용객 증가가 예상된다. 향후 확장성을 감안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주장의 배경이다.

다만 대전시는 지구단위계획과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 어려움 등을 들어 대체 부지 물색 필요성에 난색을 표했다. 시 관계자는 "부지·사업자 선정 등은 현재 사업지에 한해 적용되는 기준"이라며 "관련 상위법에서는 현 부지 사업 진행을 기준으로 그린벨트 해제 등 지구단위계획이 짜여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지를 이전하면 사업승인계획과 사업자 승인 등이 어려울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승현·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대전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위치도.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위치도. 사진=대전시 제공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