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지자체들이 시도 간 경계를 넘어 하나의 대권역으로 묶는 메가시티 건설에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울산·경남을 묶는 동남권 메가시티, 대전·세종·충남·충북을 연결하는 충청권 메가시티, 광주·전남을 통합하는 광주·전남 메가시티까지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메가시티는 인근 도시들이 공동 생활권, 공동 경제권을 형성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도시를 말한다. 도시 간 각자도생이 아니라 상생 발전해야 하는 시대가 오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충청권 4개 시도가 메가시티 실행 방안을 담을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전략 수립 공동연구` 용역에 본격 착수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이번 용역에서는 메가시티의 목적과 형태, 도시 규모, 건설 비용과 기대 효과 등 메가시티 전반에 대한 밑그림을 그리게 된다. 여기에는 충청권 광역 철도망 구축, 충청산업문화철도, 초광역 자율주행자동차 특구 및 충청권 실리콘밸리 조성 등의 사업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종시를 중심으로 철도망과 고속도로망이 구축되면 인근 도시들이 하나의 경제·생활권을 이룰 수 있다. 신탄진-조치원-오송-청주시내-오근장 노선은 대전과 세종, 청주를 하나의 도시처럼 연결하게 된다.

이번 용역으로 충청권 메가시티는 첫 단추를 꿰게 됐지만 우려할 점이 없는 것도 아니다. 4개 시도가 메가시티 건설이라는 큰 틀에 합의를 했지만 각론에 들어가면 얼마든지 이견이 있을 수 있다. 용역 추진 과정에서 시도 간 이해관계가 충돌해 서로 유리한 조건만 내세울 수도 있다. 비근한 예로 대전시와 세종시는 지역화폐 등 일부 분야에서 의견 조율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대전도시철도 1호선의 세종시 연장과 관련해서도 일부 회의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철도나 고속도로 등 SOC 구축 차원에만 너무 몰두해서도 안된다. 지자체들이 앞장서 의견을 내놓고, 상생 발전을 담보할 수 있는 공동 의제를 발굴해 내야 한다.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등을 고려할 할 때 수도권을 대체할 수 있는 도시로서의 기능까지 수행해야 한다. 충청권 메가시티는 수도권 일극화에 대응하고,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출발했다. 이번 용역은 이런 시대적 요구까지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