웬만한 지자체에는 국제회의복합지구가 조성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전은 이 사업 문체부 공모에 느슨하게 대응하는 바람에 기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제회의복합지구는 해당 지자체 마이스(MICE) 산업의 현주소를 가리키는 것은 물론이고 도시의 장래 잠재력과도 직간접적으로 연계된다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지난 2018년부터 지자체들이 너나할 것 없이 국제회의복합지구 선정 경쟁을 벌여왔다.

그 결과 적잖은 지자체들이 국제회의복합지구 공모 선정에 성공해 각자 마이스 산업 육성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인천, 경기 고양, 광주 등이 선두그룹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부산, 대구 등도 문체부 공모 기준을 충족해 국제회의복합지구 선정을 받았다고 한다. 국제회의복합지구는 관광진흥법상 관광특구에 버금가는 지위를 얻음으로써 여러 혜택이 부여된다. 재정 지원이 따라붙는 것을 비롯해 용적률 완화 등 건축행위 관련 규제 문턱이 낮아지고 교통 유발금 감면 등도 받을 수 있다. 국제회의복합지구에 주어지는 특전이라 할 것이고 그 다음 유관 산업을 어떻게 특화해 차별화를 꾀할 것인지는 각 지자체의 몫이자 역량에 달렸다고 보면 된다. 대전은 타 시·도와 대조적이다. 행정영역에서 문체부 공모 사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 같지 않아 보이는 게 사실이다. 대체 무엇 때문에 그랬는지 얼른 납득이 가지 않을 뿐더러 혹여 마이스 산업에 대한 정책적 감수성이 메말라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마이스 산업이 아니어도 그 못지 않은 먹거리 창출 수단과 방법이 있지 않은 이상, 대전의 태도는 합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더구나 코로나 19로 지방의 회의 및 컨벤션·전시산업계의 암흑기가 장기화되고 있는 마당이다. 이런 때일수록 정부부처 주도의 공모 정책에 적극 반응하는 게 맞는데 대전은 우두망찰해온 측면이 없지 않다.

국제회의복합지구를 중심으로 마이스 산업을 강화해 나갈 일이다. 사실 잘 조성된 복합지구는 그 자체가 도시의 관광·회의산업분야의 자산이기도 하다. 시동이 늦게 걸린 대전도 예외가 아니다. 국제회의복합지구라는 넓은 텐트를 확보하는 데 주저주저하면 곤란하다. 마이스 산업 경쟁력을 잃으면 도시 미래도 어두워진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