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연서면 국가산업단지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한 조사를 끝내면서 그 공은 이제 경찰로 넘어가게 됐다. 세종경찰청은 며칠 전 국가산단 투기와 관련해 세종시청 토지정보과와 산업입지과를 압수수색했고, 충남경찰청도 세종시청과 시내 공인중개업소 등 8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충남경찰은 내사 과정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곳에서 세종시청 공무원의 투기 의혹 단서를 잡았다. 해당 지역은 세종시가 전수대상 조사에 포함하지 않았던 연서면 국가산단 외 지역이다.

시기적으로 경찰의 압수수색은 상당한 아쉬움을 남게 한다. 어떠한 이유인지 모르지만 세종시의 자체 조사를 기다렸다가 뒤늦게 나선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세종시 국가산단 투기 의혹에 대한 언론 보도가 나온 것도 이미 10여 일이 지났다. 골든 타임으로 볼 수 있는 이 10일을 놓치다 보니 사건이 축소 또는 은폐됐을 소지도 다분하다. 부동산 투기에 대한 수사가 늦어지면 증거가 사라지고, 투기꾼들에게 말 맞추기 시간을 벌어주는 꼴이 된다.

늦은 감이 있지만 경찰의 압수수색은 본격적인 강제수사에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측면에서 허술했던 세종시청 자체 조사보다는 훨씬 폭넓고 깊어야 한다. 수사 대상을 확대해 개발 관련 부서의 공무원과 직계 존비속뿐 아니라 이들의 지인까지도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 또 공무원의 부동산 투기 여부를 확인했다면 여기에 그치지 않고, 업무 연관성까지 밝혀내야 한다. 공직자가 내부 정보를 알고 땅 투기를 했다고 하더라도 당사자가 이를 부인하면 입증이 쉽지 않다. 중앙부처나 세종시청 공무원이 차명으로 부동산 투기를 했다면 더더욱 찾아내기가 힘들다.

세종경찰은 이번 조사에 여러 모로 부담을 느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투기가 전 국민적인 공분을 사고 있고, 검경 수사권 조정 이후 처음으로 시험대에 오른 만큼 어떤 식으로든 성과를 내야 한다. 세종시 자체 조사처럼 `맹탕 조사`로 끝날 경우 경찰의 존재감이 사라질 수밖에 없다. 지금 국민들은 `기대 반 우려 반`의 심정으로 경찰의 수사를 지켜보고 있다. 세종시의 조사처럼 변죽만 울리고 끝날 수도 있고, 투기의 전모를 밝힐 수도 있다. 이게 다 세종경찰의 손끝에 달려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