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불리 문제 최소화"
실력 외 변수 클 수 밖에…"심화 불가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선택과목제 확대에 따른 복불복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선택과목별 점수가 보정된다고 해도 선택과목 유불리 문제를 해결하긴 역부족이라는 이유에서다.

21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2022학년도 수능 국어와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선택과목` 구조로 치러진다. 지난해 시행된 2021학년도 수능까진 수험생들이 탐구 영역과 제2외국어 영역에서만 과목을 선택하면 됐지만 이번 수능에선 주요 영역에서도 과목을 골라 시험을 봐야 하는 것이다.

이미 탐구 영역에서 과목 선택에 따라 원점수가 같더라도 표준점수가 10점 안팎 차이가 나는 복불복 문제가 매년 반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선택과목제가 확대됨에 따라 복불복이 심화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나 수학 영역에서다.

수학에선 주로 문·이과 계열에 따라 갈리던 수학 가·나형 구분이 사라진다. 대신 `수학Ⅰ, 수학Ⅱ`를 공통과목으로 치르고 선택과목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가운데 1개를 선택해 응시해야 한다.

공통과목은 전체 문항의 75%, 선택과목은 25% 내외로 출제된다.

최종 점수는 공통과목, 선택과목 각각의 표준 점수를 산출한 후 배점 비율에 따라 합산한 표준 점수로 표기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선택과목 표준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공통과목 점수를 바탕으로 선택과목 점수를 보정하기 때문에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수학 영역에서 각각 A, B 선택과목을 고른 두 수험생의 선택과목 원점수가 같더라도 A 선택과목을 선택한 집단의 공통과목 평균 점수가 B 선택과목 집단보다 높으면 선택과목 보정 후 점수는 A 선택과목을 본 수험생이 높을 수 있다. A 선택과목에 더 좋은 실력을 지닌 학생이 몰린 것으로 간주해 해당 선택과목 수험생이 일종의 보상을 받는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두 수험생의 공통과목 표준점수가 동일하다면, 공통·선택과목을 합산한 최종 표준점수는 A 선택과목을 본 수험생이 높을 여지가 있다.

평가원 관계자는 "전체 공통과목이 약 75%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 성적으로 선택과목별 난이도 차이를 통계·기술적으로 보정하게 된다"며 "학생들은 적성이나 진학하고자 하는 희망대학·전공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것이기 때문에 선택과목에 따라 유불리가 발생한다는 접근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수능을 주관하는 기관의 유불리 문제 최소화 입장에도 일각에선 선택과목제가 확대된 이상 유불리 심화 문제는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최고난도 문항이 공통·선택과목 중 어디에서 많이 나오느냐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다"며 "이는 본인의 실력과는 별개로 변수 비중이 커진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강정의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