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철도망계획 반영돼야 계획대로 2030년 개통
전면 지하화 또는 자전거 도로 이동 설치 방안 논의
전국 지자체 철도 유치 경쟁 과열…반영 장담 못해

도시철도 1호선 세종연결 노선도. 사진=대전시 제공
도시철도 1호선 세종연결 노선도.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도시철도 1호선을 정부세종청사까지 잇는 `대전도시철도 세종 연장` 계획이 구체화하고 있다. 연결 구간 내 정차역 수가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히고, 전면 지하화 또는 노면 설치 등 건설 방식이 막바지 조율에 들어갔다. 관건은 해당 사업이 오는 6월 발표될 정부 `제4차 국가철도망계획` 반영될지 여부다. 국가철도망 사업에 포함돼 광역철도로 전환되면 사업비 조달이 한결 수월한 장점이 있다.

17일 대전시와 세종시에 따르면 대전도시철도 1호선 세종연결 사업은 반석-정부세종청사(14.02km)를 추가 연장하는 걸 뼈대로 한다. 정거장은 외삼역과 금남역, 세종터미널역, 나성역, 정부세종청사역 등 총 5개역 신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종시가 발주한 타당성 조사용역 결과를 보면 연장 구간(반석-정부세종청사) 소요시간은 16분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예상 사업비는 총 1조 548억 원으로 추정된다.

전체 사업비의 70%인 7384억 원은 국비, 나머지 30% 3164억 원은 지자체 몫이 된다. 대전시에 비해 철도 신설 구간이 긴 세종시가 2329억 원을, 대전시가 835억 원을 부담하는 구조다.

건설방식은 북유성대로(남세종 나들목-호남고속철도 발산고가) 4.4km 구간은 현재 BRT 버스가 다니는 중앙차로에 철로를 깔고, BRT 도로가 한 차로씩 좌우로 옮겨지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럴 경우 현재 편도 3차선 주행 차로가 2차선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부 노선의 지하화 건설도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다. 자전거 전용도로를 철거·이설하는 방식으로 전동차가 운행할 수 있는 선로를 지상에 깔 거나, 전체 노선을 지하로 설계하는 방식도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계획이 국가철도망에 포함되면 지자체가 총공사비의 40%를 부담해야 하는 도시철도에서 광역철도로 전환된다. 이럴 경우 두 지자체는 총공사비의 30%만 부담하면 된다. 오는 2030년 계획한 개통 시기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4차 국가철도망계획 확정 발표에 앞서 지방정부 간 철도 유치 경쟁이 과열 양상을 빚고 있다. 전국 지자체가 경제 활성화, 수도권 접근성 강화 등 저마다 논리를 앞세운 철도 노선 계획은 170여 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이유로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의 협의에 속도가 붙지 않는 상황이다. 이달로 예정됐던 관련 공청회도 4월로 미뤄지기도 했다.

충청권 4개 지자체는 국가철도망 계획에 충청권 광역철도 노선 반영을 촉구하고 있다. 대전도시철도 1호선 연장(14㎞), 정부세종청사-조치원 간 세종 구간(14.2㎞), 조치원-오송역-청주시내-청주공항 간 세종·충북 구간(26.7㎞) 등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대전과 세종은 `대전-세종 지하철 연결`이 충청권 광역철도망 구축 세부 사업인 탓에 광역철도망 구축 당위성 확대에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충청권 광역철도가 4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현재 국토부에 사전타당성조사 결과를 제출한 상태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정부의 현명한 결정이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