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교통복지 사각지대 여전
대안으로 공공형택시 도입 논의

[사진=대전일보DB]
[사진=대전일보DB]
지난 8일 이른바 대중교통 소외지역이라 불리는 대전 유성구 교촌동의 한 마을. 이 마을 끝자락은 가장 가까운 버스정류장이 1.3㎞ 가량 떨어져 있다. 청년이 도보로 이동할 경우 약 30분이 걸린다. 주로 시 외곽에 있는 대중교통 소외지역은 버스정류장으로부터 1㎞ 이상 떨어진 지역을 말한다.

이 마을에서 만난 한 주민은 "버스정류장이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걸어가기도 힘들고, 그렇다고 택시를 불러서 다니기에도 돈이 너무 많이 나와 정말 부담스럽다"고 하소연했다.

인근 주민센터에서 확인해보니 이 마을에는 모두 125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주민의 3분의 1 이상이 고령층으로, 일부는 지팡이를 짚거나 보행보조기에 의존한 채 거동을 해야 하는 사회적 `교통약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이 몇 십분 이상 걸어서 버스를 타기는 사실상 무리가 따른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역에는 109세대가 이 같은 대중교통 소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시는 전국 6대 광역시이자 인구 150만 대도시이고 지하철이 개통된 지 15년이 지났다. 하지만, 가장 대중적인 교통복지 서비스인 버스도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대중교통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은 대중교통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다 보니 무작정 시내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지자체로서는 재정 상황 등으로 인해 한계가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공공형 택시를 투입해 교통권을 개선하자는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 공공형 택시는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에게도 이동권을 보장하는 보편적 교통 복지 사업 중 하나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대중교통 이용객이 점차 줄면서 교통 소외지역에 대한 버스 운행 서비스 역시 지속적으로 나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감안한 `대체재`로 지목되고 있는 것이다.

공공형 택시는 시내버스 운영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지자체에서는 이미 도입, 운용 중이거나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전과 인접한 충남에서는 아산 `마중택시`, 서천 `희망택시`라는 명칭으로 각각 2012년, 2013년부터 공공형 택시를 운영하고 있다. 일정 거리 내에 버스정류장까지 태워다 주고 인원에 상관 없이 요금 100원을 받는 아산 마중택시는 전국 지자체와 교통학계로부터 교통 약자를 위한 교통복지·창조적 교통시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도 지역 내 대중교통 소외지역에 공공형 택시를 일부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대전시 한 관계자는 "최근 지역 내 교통 소외지역에 대한 공공형 택시 도입을 위한 수요 조사에 착수했다. 오는 7월 공공형 택시 시범 운영을 염두에 두고 관련 현황 등을 파악 중"이라며 "공공형 택시 사업과 함께 지역 내 인구 증감 여부를 고려해 버스 노선을 새로 만드는 등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버스 운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진웅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