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주택 가격 상승이 주거 안정에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각종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주거 불안은 인구 성장의 둔화를 초래해 세종시 탄생 이후 고질병이었던 상가 공실이 더욱 심화될 수 있고 가정어린이집 폐원 속출 등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힐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세종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18.6%로 전국에서 경북(19%)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평균 공실률(12.7%)보다도 5.9% 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게다가 지난해 1-2분기 14.2%였던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3분기 들어 18.2%로 급증했다. 세종과 인접한 대전(13.8%), 충남(14.2%), 충북(17%)의 지난해 4분기 중대형 상가공실률과 비교해도 차이가 확연하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 역시 전북(12.2%)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세종 지역의 지난해 1분기 소규모 상가 공실은 10.6%, 2분기 11.3%, 3분기 10.3%, 4분기 11.9%로 꾸준히 올랐다. 이 역시 주변 지역과 차이가 크다. 대전의 지난해 4분기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9.4%, 충남 7.4%, 충북 7.8% 등으로 모두 공실률이 10%를 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상가 공실률 악화가 다소 주춤한 세종시 인구 증가의 한 영향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 지역 공인중개사는 "부동산 가격이 올라 공실률이 더 악화된 경향이 있지만 그전에 세종 인구보다 상가가 과잉 공급돼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은 것"이라며 "또 세종지역 상가에서 사업에 실패하는 사례들이 늘어나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상인 역시 줄어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모(50)씨는 세종행을 고려했다가 이 같은 여건 때문에 계획을 접은 사례다. 김씨는 "세종시의 발전 가능성을 보고 식당을 옮기기 위해 다방면으로 알아봤다"면서 "하지만 인구 성장이 멈춰섰고 상권 침체가 장기화됐다는 주변의 만류로 인해 식당 이전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최근 들어 늘고 있는 가정어린이집 폐원 등 주택 가격 상승과 인구 증가 정체는 또 다른 부작용으로 연결되고 있다.

세종 지역 가정어린이집은 전국적인 출산율 저하와 인구 증가 둔화가 맞물리면서 원아 모집 자체가 쉽지 않고, 몇 년 사이 급상승한 아파트 전세 가격이 더해지면서 운영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것.

한 지역 가정어린이집 관계자는 "국공립의 경우에는 정원을 다 채우지 못해도 운영에 문제가 없지만 가정어린이집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다"며 "고액의 전세 보증금도 문제지만 원아 모집이 안되서 운영을 포기하는 원장들도 상당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세종지역 가정어린이집은 2018년 177개소에서 2019년 173개소, 2020년 155개로 감소했다. 박영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