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부 박상원 기자
취재2부 박상원 기자
최근 체육계에서 `학교폭력미투` 소식이 꼬리를 물고 있다. 과거 폭력을 당했던 사실을 피해자가 뒤늦게 폭로한다는 의미를 담은 `학폭미투`로 인해 프로스포츠계가 흔들리고 있다. 이니셜만 들어도 짐작이 가능한 A구단은 팀의 주력선수를 잃어버렸고, 올 시즌을 이끌어 가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최근 문체부와 교육부는 `학교운동부 폭력 근절·스포츠 인권보호 체계 개선 방안`을 심의, 의결했다. 핵심은 과거 학교폭력을 일으킨 선수는 대회 참가가 제한된다. 또, 눈에 띄는 점은 프로스포츠 구단과 실업팀, 국가대표, 대학 등에서 선수를 선발할 때 학교폭력 관련 이력을 확인해 선발을 제한한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대책이 마련돼도 학폭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학폭은 주로 음지에서 일어나는데, 서류상 이력을 확인한다고 학폭 가해자를 거를 수 있는 대책이 될지 의문스럽다는 점이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문서로 뭐라도 실행해야 하는 공무원들의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는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 이번 대책이 피해자 중심으로만 이뤄져 제 3자로 볼 수 있는 구단에 과한 책임을 전가한 것은 지나친 것 아니냐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구단에선 기껏 좋은 선수를 선발한 후 특정 선수가 학폭 가해자로 지목되면 구단 이미지 하락 등 책임질 범위가 넓다. 누리꾼들 중에는 "구단이 무슨 죄가 있냐, 선수 개인의 과거 잘못을 구단과 결부하는 건 과한 처사"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이번 사건에서 짚어봐야 할 부분이 있다. 피해자가 SNS 등을 통해 과거 학폭사실을 폭로하면 마치 기다렸다는 듯 특정인을 마녀사냥에 나선다. 도마 위에 오른 선수가 폭력을 가한 사실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마치 그 폭로가 사실인 양 여론은 무자비하게 돌을 던진다. "과거 폭력을 당했다"라는 피해자의 폭로가 물증이 된다. 물론 과거의 잘못된 행동은 정당화될 수 없다. 그렇지만 사실을 실제로 생각하는 것도 조심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박상원 취재2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