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 금리 [그래픽=연합뉴스]
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 금리 [그래픽=연합뉴스]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가 오르고 있다. 고공행진하는 집값과 지속적인 상승 기대감에 편승해 무리하게 대출을 일으킨 가계에 결코 반갑지 않은 신호다. 빚을 내 내집 마련에 성공했거나 새로운 전셋집으로 옮긴 개인들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이자 폭탄 청구서로 돌아올 수 있다는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온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2.59-3.65% 수준이다. 1%대 신용대출 금리가 등장한 지난해 7월 말 1.99-3.51%에 견줘 하단이 0.6%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반등하는 추세다.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코픽스 연동)는 연 2.34-3.95%로 역시 지난해 7월 말(2.25-3.95%)보다 최저금리가 0.09%포인트 올랐다.

지난 연말부터 시작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조이기와 각 대출금리 산정에 반영되는 지표금리 등의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또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와 인플레이션 우려로 저금리 시대가 저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당국이 3월 중 발표를 예고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은 중대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일괄적용이 핵심으로 DSR는 대출 심사에서 차주의 모든 대출에 대해 원리금 상환 부담을 계산하는 지표다.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과 카드론을 포함한 모든 금융권 대출 원리금 부담을 반영한다. 금융당국은 개인의 상환능력에 맞게 대출이 이뤄져야 한다는 판단 아래 개인 차주별 DSR 40% 적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 대출을 바싹 죄고 금리 오름세가 계속되면 부동산 시장으로 빠르게 규제 여파가 전이될 것으로 점쳐진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값과 전셋값을 가계가 대출로 떠받치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최근 통계인 2월 넷째주(2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대전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0.41% 오르며 견조한 상승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전세가격도 0.32% 올랐다. 최근 2-3년 대전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를 비껴가면서 외지 투자·투기수요가 몰려 집값이 폭등했고 세종과 지리적으로 연접한 까닭에 세종지역의 호재와 악재에도 풍선효과를 누렸다.

지난해 6월 정부가 관계부처 합동으로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을 발표하며 "대전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큰 폭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비규제지역으로 대체 투자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입돼 1년 간 누적상승률이 11.50%에 이른다"고 평가할 정도다. 그러면서 대전 전역을 조정대상지역, 대덕구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자치구를 투기과열지구로 묶었지만 부동산 시장 과열 양상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오히려 무주택자들의 불안심리를 자극해 과도한 대출을 통한 추격 매수를 부추기는 악순환을 낳았다. 여기에 대출금리 상승의 상수화는 가파른 이자비용 증가로 직결된다는 점에서 가계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2·4 대책 이후 전국적으로 집값이 주춤하는 분위기가 서서히 감지되고 있고 대전도 조정을 받을 때가 됐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며 "외지 투기세력이 올려놓은 집값을 지역에서 떠받쳐주고 있는 마당에 대출금리가 계속 오른다면 소위 `영끌`로 큰 빚을 낸 가계가 이자부담을 견뎌내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