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행정수도를 꿈꾸는 세종시의 건설공사 현장에서 생명과 직결되는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세종지역에서는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총 22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한 해 평균 4-5명이 세종시 공사 현장에서 아까운 목숨을 잃었다니 결코 적은 인원이라고 볼 수 없다.

사고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다. 추락사고가 14건으로 가장 많았지만 화재, 부딪힘, 깔리거나 끼임, 물체에 맞는 사고 등도 발생했다. 이는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사고에 불과하며, 산재처리 중이거나 산재로 인정받지 못한 사례까지 따지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파트 외벽을 보수 공사하다 추락하기도 하고, 철근 더미에 깔려 숨지기도 했다. 세종시는 아직 도시건설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다른 도시에 비해 공사현장이 상대적으로 많은 곳이다. 현재 아파트나 상가 건설 현장, 관공서 신축, 터널 보수공사 등 크고 작은 공사 현장이 760여 개나 된다.

하지만 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건설공사 현장이 많다고 해서 안전사고가 정당화될 수는 없는 일이다. 매년 비슷한 사고가 되풀이되는 것을 보면 세종시 건설현장에 안전불감증이 만연돼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다른 곳도 아닌 가까운 미래에 행정수도로 거듭날 세종시에서 이 같은 사고가 반복된다니 이해하기 힘들다. 세종시는 올해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이 본격화되면 행정수도에 한발 더 성큼 다가선다. 이런 세종시가 공사장 안전 사고로 인해 산재 도시의 오명을 쓰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행복도시건설청, 세종시 등 관련 기관들은 공사 현장의 안전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 관련 기관들은 안전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TF까지 꾸렸는데 탁상행정에 그치지 않도록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세종지역 내 공사 현장이 많다고 해서 현장 점검을 건너뛰어서도 안된다. 산재 발생 우려가 있는 위험 사업장을 수시로 찾아 세부적인 안전수칙까지 일일이 점검하는 수 밖에 없다. 필요하다면 불시에 현장을 방문해 매뉴얼을 점검하고 잘못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 기업과 근로자들도 오래된 관행에 젖어 공사현장의 안전보다는 비용절감이나 공기단축에 더 신경 쓴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