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4-2 생활권에 조성중인 공동캠퍼스에 대전과 공주시 등 지방 도시 소재 국립대학의 입주가 결정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행복도시건설청이 당초 계획했던 수도권 대학이나 해외 대학 분교 등의 유치가 불발되자 대신 대전시 등에 소재한 국립대를 끌어들이면서 인근 도시에 적잖은 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세종시의 본격 건설과 함께 상생발전을 도모할 것이란 예측과는 달리 `빨대효과`로 피해를 보고 있는 대전시 등 인근 도시는 인구유출에 이어 대학의 이탈이란 악재까지 겹쳐 비상이 걸린 셈이다. 행복도시건설청은 과연 인근 도시 대학을 대상으로 한 대학 유치 전략이 온당한 것인지 되돌아 봤으면 한다.

세종시 공동캠퍼스에 입주가 결정된 곳은 충남대·한밭대·공주대·충북대와 서울대·한국개발연구원(KDI) 등 6곳이며 편성 정원만 해도 2500명을 상회한다. 이중 서울대와 한국개발연구원은 행정·정책대학원과 국제정책대학원이 입주, 효과가 크지 않다. 반면 충남대는 의대·대학원과 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계열, 충북대는 수의대·대학원, 공주대와 한밭대도 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계열 등 핵심·유망학과가 옮겨갈 예정이다. 하지만 이들 국립대의 세종행은 국가균형발전에 정면으로 역행하는 처사일 뿐만 아니라 인근 도시의 발전을 위축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세종의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대학 유치는 수도권 과밀 해소와 경쟁력 강화가 핵심이다. 서울 등 수도권 대학과 해외 유명대학의 분교 등을 유치하라는 것이지 인근 도시의 핵심 자원을 빼가는 수단으로 변질돼서는 곤란하다.

문제는 지방 소재 대학들의 세종행 러시가 여기서 그칠 것 같지 않다는 점이다. 비록 이번 공동캠퍼스 입주가 좌절되기는 했지만 한남대·우송대·건양대 등 대전 소재 사립대학들도 세종행을 시도했던 모양이다. 앞으로 여건이 성숙되면 이들 대학들도 세종행을 재차 시도할 수 있다는 예측이 가능하다. 행복청은 이런 점을 감안해 향후 대학 유치 전략을 재고하기 바란다. 교육부 역시 지방 국립대의 무분별한 세종행을 막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대전시도 중소벤처기업부의 세종행과 카이스트 AI대학원 서울 이전에 속수무책이었던 것을 거울삼아 대학들의 탈 대전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