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IM선교회 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확산일로다. 지난 24일 대전 IEM국제학교 집단감염 이후 3일 만에 확진자가 300명대를 뛰어넘는 파급력에 발생 지역도 대전을 비롯해 광주·울산·강원·경남 등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당국의 조사가 완료되면 확진자 규모가 얼마나 늘어날지, 또 이들로 인해 2~3차 감염이 있었는지 모를 일이기에 걱정이 앞선다. 최근 확연하게 줄어들던 확진자 숫자가 어제 500명을 넘어선 것도 이들의 영향이라고 하니 한숨이 나온다. 당국은 신천지나 사랑제일교회, BTJ열방센터의 경우처럼 초동 대응에 실패해 대유행을 불렀던 사례를 교훈으로 삼아 IM선교회 집단감염 사태에 적극 대처하기를 바란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IM선교회는 교육시설 11개 시도에 걸쳐 23곳, 연구소 17곳 등 모두 40개소가 전국에 분포돼 있으며 구성원은 모두 841명에 이르는 것으로 신고했다고 한다. 하지만 설립자의 실체가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는 데다 시설 운영의 폐쇄성 등으로 미뤄 이를 그대로 믿을 수만은 없는 문제다. 선교회는 학생 등 구성원 대부분은 집단생활을 하는 관계로 외부와 접촉이 거의 없었다고 하지만 이 또한 신뢰성이 떨어진다. 교육시설이 소재한 인근을 배회하거나 생필품 등을 사러 편의점 등에 들렀다든지 하는 주민들의 제보와 증언이 잇따르고 있음을 감안하면 얼마든지 지역사회에 밀접 접촉자가 있었을 것이란 추정을 가능케 하는 대목이다. 전국에 산재한 40여개 시설에 드나든 방문자나 관련자의 규모도 아직 정확하게 집계된 것은 없다는 점도 불안감을 키우는 요인이다.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비인가 종교시설이나 교육시설이 어찌 이들 뿐일까 마는 IM선교회 관련 시설에 대해서는 보다 정밀한 추적조사가 필요한 것 같다. 전국 23개 교육시설도 대전 IEM국제학교처럼 장기간에 걸쳐 밀집 환경에 운영되고 각 시설 간 교류 가능성 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방역당국과 행정당국이 막연히 이들의 자발적인 신고나 협조에 기댈 것이 아니라 강제력을 동원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얘기다. 초기 대응에 실패하면 가까스로 진성세로 돌아서고 있는 코로나19의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번 만큼은 그런 빌미를 제공하지 않았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