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통해 "퍼스트무버로 치고 나갈 최적기" 강조
"'디지털 공학'으로 코로나19 등 총체적 위기 극복"

김정호 KAIST 교수
김정호 KAIST 교수
`인공지능(AI) 융합 반도체 개척자`로 불리는 KAIST 전기·전자공학부 김정호 교수(사진)는 디지털 변혁과 코로나19가 촉발하며 기술 변곡점에 직면한 현재를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시대 `퍼스트무버(선도자)`로 치고 나갈 최적기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급속히 발전하는 `디지털 공학`을 중심으로 코로나19를 비롯해 실업·빈곤·교육과 디지털 격차·고령화 문제 등 총체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런 내용을 담은 신작 `공학의 미래-문명의 대격변, 한국 공학이 새롭게 그리는 빅픽처`를 최근 출간했다. 그는 책에서 진정한 디지털 기술 독립을 이루기 위한 우리나라 공학의 역할과 사회가 짚어야 할 문제를 제시하는 한편,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반도체 기술의 개발 방향과 관련 인재 육성 방안 등을 해결책으로 소개했다.

그는 오늘날과 같은 변화무쌍한 시대에 창조성과 원천성이 생존에 필요한 중요한 요소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공학은 방향이 아닌 속도에 초점을 맞춘 `빠른 추격자` 성장 모델에 안주하고 익숙해져 있지만, 이제부터라도 정해진 이론과 방정식, 규칙을 넘어 존재하는 세상을 과감히 두드리고 도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창조성은 단단한 편견을 넘어 열린 마음에서 나온다"면서 "디지털 공학이 인간을 닮은 모습을 할 때 진짜 혁신이 시작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그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딩, 반도체를 중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은 고정관념에 젖어 있는 우리 공학에 위기인 동시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간의 욕망이 향하는 방향을 제대로 간파해 `디지털 융합 기술`을 추구한다면, 살아있는 공학으로서 인류를 위해 `기능`할 것이란 예견이다.

이밖에 김 교수는 미국 유학 시절 겪었던 일, 무선 배터리 충전 개발에 얽힌 일화, AI 반도체 개발 과정에서 느꼈던 감정, KAIST에서 후학을 길러내며 느꼈던 인재 육성에 관한 소회 등을 책에 담았다. 장진웅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호 KAIST 교수 신간 `공학의 미래` 표지. 사진=KAIST 제공
김정호 KAIST 교수 신간 `공학의 미래` 표지. 사진=KAIST 제공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