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을현 충남대 과기지식연구소 교수
성을현 충남대 과기지식연구소 교수
2021년이 시작된 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월의 끝자락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연초를 맞아 국가의 많은 일 들이 분주히 시작점을 출발하고 있다. 이번 연도도 작년에 이어 코로나19 비상시국으로 시작을 했다. 백신이 개발돼 이제 코로나19 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된 점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올해도, 적어도 우리나라는 마스크에서 완전히 해방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그러다 보니 우리의 삶의 바탕이 되는 경제와 산업의 전망도 그리 밝아 보이지는 않다.

경제와 산업의 중심에는 산업단지가 있다. 산업단지는 전국에 1230여 개가 있고 그 안에 10만여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제조업의 생산과 수출의 70% 이상과 고용의 50%를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 대전에도 산업단지가 있다. 산업입지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산업단지는 국가·일반·도시첨단·농공산업단지로 분류하고 있는데 대전에는 국가산업단지로 대덕연구개발특구, 일반산업단지로 대전산업단지, 하소친환경산업단지, 평촌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로 한남대캠퍼스혁신파크산업단지가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오래된 대전산업단지가 벌써 50년이 훨씬 넘었다. 대전 대화동에 위치한 대전산업단지는 1969년 5월 착공이래 그동안 대전 산업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해 왔다. 우리나라 최초 산업단지로 조성된 한국수출산업 공업단지(옛 구로공단, 지금의 서울디지털국가산업단지)가 1964년 12월 착공됐고, 우리가 잘 아는 구미공단이 1969년 9월 착공됐으니 대전산업단지는 전국적으로 가장 오래된 산단 군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하도 나이가 많아 이제 스스로는 재생이 어려운 나이가 됐다.

그동안 노후 된 대전산업단지의 재생을 위한 시도가 있었다. 2009년 국토부가 주관하는 재생사업 시범지구로 선정이 돼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동안 재생사업에 들어갔다. 재생사업은 10년간 총 4472억 원이 투자되기로 돼 있었다. 하지만 불보합지 발견, 입주기업과 주민 보상 문제, 민자유치 실패 등의 이유로 재생사업은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2015년 8월에야 기공식을 갖고 2016년 계획변경을 통해 `첨단산업지구화`로 사업목적을 변경, 구역에 따라 첨단산업을 유치·유도·정비하는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하지만 이 계획도 2018년 8월에야 대전시가 LH와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 전문매수구역 사업추진을 위한 시행협약을 체결함으로써 겨우 재생의 시동을 걸었다. 2019년이 돼 그 동안 예산확보의 어려움으로 추진이 어려웠던 한샘대교가 3월 기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으며, 1월에는 정부가 산업단지를 젊은 인재와 신산업이 모이는 활력 있는 공간으로 재편하기 위해 역점을 두고 추진하는 `청년 친화형 선도 산업단지 공모사업`에 대전산업단지가 선정됐다. 그리고 2020년 7월에는 `산업단지 상상허브` 사업대상자로 선정됐고, 10월 26일에 최종적으로 활성화 구역으로 승인돼 도로환경개선·주차장·공원 등 부족한 기반시설을 2022년까지 완료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지금 진행되는 대부분의 사업들이 대전산업단지의 아주 일부인 유휴부지가 그 중심대상으로 대전산업단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업입주지역이 배제돼있다는 점이다. 현실적으로 기업입주지역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가 어렵다는 점은 충분히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노후된 산단으로 남겨둘 수는 없다. 대전산업단지의 균형 있고 실질적인 재생을 위해서 이제는 산업단지 전체를 재생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한 때가 됐다. 중앙정부의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이나 `상생일자리 사업` 등 굵직한 대형 사업들이 대전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기획·선정돼야 한다. 또한 2010년 재생사업의 전철을 밟지 않는 시행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철저한 분석에 기반한 빈틈 없는 기획과 지자체의 책임감 있는 시행노력이 필요하다. 올 2021년은 대전산업단지가 새롭게 변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으면 한다. 성을현 충남대 과기지식연구소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