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의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체계도. 사진=산림청 제공
산림청의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 체계도. 사진=산림청 제공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심각성이 높아지면서 최적의 자연친화적 해법인 숲과 나무가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정부는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국가 주요 미래전략에 핵심 탄소 흡수원으로 산림의 기능 증진을 강조하고 있다.

산림청은 2050년까지 나무 30억 그루를 심어 매년 탄소 3400만t을 흡수·감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2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이런 내용이 담긴 `2050 탄소중립 산림 부문 추진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연간 4560만t으로, 국가 총배출량(7억 3000만t)의 6.3%를 상쇄하고 있다. 하지만 1970-1980년대 집중적으로 조성한 산림의 노령화가 심해, 현재 추세라면 2050년 온실가스 흡수량이 1400만t까지 떨어질 전망이다.

산림청은 `3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 심기를 통한 2050년 탄소중립 3400만t 기여`를 목표로 신규 산림 탄소흡수원 확충,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 등 12대 핵심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과제가 계획대로 추진되면 산림의 탄소흡수량은 연간 1400만t에서 2680만t(국내 2070만t, 해외 610만t)으로 늘고, 목재 이용에 따른 탄소저장량은 200만t, 화석에너지를 산림바이오매스로 대체함으로써 가능한 탄소배출 감축량은 520만t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두 합하면 연간 3400만t의 온실가스를 흡수·감축하는 셈이다.

산림청의 추진 전략은 테다소나무, 백합나무, 가시나무류 등 탄소흡수 능력과 환경 적응력이 우수한 수종의 조림을 확대하고, 드론을 통한 묘목 운반과 기계화 식재 등 지능형(스마트) 식재 기술 등이다.

섬 지역 산림 22만ha에 대한 자생식물 중심 복원사업과 환경개선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한계 농지나 수변 지역 대상 산림조성을 늘린다. 북한 황폐산림 147만ha 중 5만ha에서 신규조림이나 재조림을 추진하고 142만ha의 복원과 산림경영을 모색한다. 탄소저장 능력이 인정된 목재 이용을 확대하고, 산림바이오매스 산업도 육성한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관계부처 협의, 지자체 등 현장과의 소통,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탄소중립 이행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추진전략을 보완해 3분기에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