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애 치안감이 여성 1호 대전지방경찰청장으로 보임하기 이전 상황을 보면 대전경찰청 수장들 재임 기간이 들쭉날쭉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선 한번 짚고 넘어갈 만한 사안이다. 어느 공조직이든 수장이 자주 바뀌면 전체적으로 안정성이 이완되기 십상이다. 지방경찰청이 그런 범주에 들어간다면 더 문제적이다. 민생 치안 서비스 및 범죄예방 대응력 등 면에서 좋은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되기 때문이다.

대전경찰청장 자리가 유독 바람을 더 타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는 점은 이전 청장들의 재임 기간을 살펴보면 수긍하기 어렵지 않다. 지난 2007년 개청 이후 대전경찰청장 발령을 받은 인사들은 도합 16명에 이르는데 이들 중 1년 이상 재임자는 3명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채 1년도 자리를 지키지 못했다는 얘기이며 심지어 5개월, 8개월 있다가 떠난 사람들도 있을 정도다. 개중에는 인사 요인이 발생해 불가피하게 떠날 수밖에 없는 사정이 없지 않았을 것이다. 치안감 정도되면 주고받을 수 있는 자리가 거의 정해져 있다. 어느 한 자리에 인사 수요가 있으면 치안감급 보직에 연쇄 이동을 불러올 수 있고 그런 상황이면 재임 기간이 짧아 아쉬워도 도리가 없기는 하다. 그런 사정을 감안한다 해도 대전경찰청장이 빈번하게 교체되는 양상을 띠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할 것이고 이는 지양할 필요가 있다. 지방청장 얼굴이 자주 바뀌게 되면 치안 정책의 일관성이 약화되는 것은 필연이다. 동시에 조직 구성원들의 팔로우십도 흔들리는 한편, 사기 진작 면에서도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은 당연지사다. 그렇게 되면 지방경찰조직뿐 아니라 시민들을 위한 치안 서비스 품질도 달라지지 않는다. 이런 현실에 제동을 거는 방법은 멀리서 찾지 않아도 된다. 대전경찰청장에 누구를 앉히느냐 못지 않게 가능하면 최소한의 임기를 보장해줘야 하고 그러면 자기철학과 소신을 갖고 일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다소 불편한 지점일 수 있지만 대전경찰청장 자리는 징검다리 보직처럼 비치는 측면도 없지 않다. 그 자리에 늘러 앉아 광역치안에 매진하기 보다 시간을 기다렸다 후속 승진 인사에 발탁되거나 아니면 수도권으로 올라간 인사들이 적지 않았다. 이제 그런 패턴을 불식시킬 때가 됐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