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연초부터 수도권 공공기관 유치에 시동을 걸고 나선 모양이다. 무슨 일이든 미리 워밍업을 해두면 실제상황에서 비교우위의 경쟁력이 발휘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읽히면서 기대감도 갖게 한다. 문제는 상응한 결실을 도출할 수 있을지 여부다. 목적한 바가 잘 맞아떨어지면 다행이지만 반대로 헛심만 쓴 채 손에 쥔 것 없는 난처한 일도 벌어지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타 시·도에서도 공공기관 유치 문제에 사활적으로 달려드는 현실도 직시해야 한다. 목표 설정과 전략 면에서 차별화하지 않으면 전망이 밝다는 진단을 내리기가 힘들어질 수 있다.

먼저 공공기관 유치 문제 있어서 대전과의 상관관계부터 정립해 본다. 통상적으로 공공기관 유치라고 하면 혁신도시 시즌2와 맞물려 돌아가는 정책으로 이해되는데 틀린 말은 아니다. 이를 감안하면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는 것은 정부가 2차 공공기관 이전 계획을 수립해 실행에 옮기는 것을 전제한다. 대전도 마찬가지임은 물론이다. 그런데 알다시피 공공기관 추가 이전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지 불확실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언젠가 터지기는 할 것 같은데 광역지자체 입장에서는 종잡기 어려운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대전은 샌드위치 신세로 비친다. 혁신도시 지정만 된 상태에서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낙망할 이유는 없다. 우선 대전으로 올 만한 공공기관들을 추려 부단히 소통하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다. 정부 방침이 확정됐을 때를 대비해 접촉면을 넓혀가면 같은 값이면 대전 이전으로 기울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 한다. 다음은 틈새시장 공략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혁신도시법에 의율되는 공공기관들 말고 중앙부처 산하기관, 정부투자·출연기관, 대전에 본사를 둔 공기업 계열사·자회사 등이 수두룩하다. 정부대전청사에 있는 청단위 중앙행정기관들의 산하기관도 수도권에 즐비하다. 이들의 리스트를 작성해 보면 대전과 궁합이 맞는 공공부문 기관들이 적지 않다고 본다.

이들 기관의 대전 이전의 장벽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다고 할 수 있으며, 아울러 혁신도시2 정책에 기속되지 않을 경우 대전은 이들에게 포커스를 맞춰 집중 유치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1호 이전 기관 물꼬가 터지면 탄력이 붙게 돼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