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여권 정치인들에 대해 분발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새해 벽두다. 이 얘기를 뒤집어 해석하면 21대 국회에 입성한 현역 의원들의 일체감내지는 존재감이 예전 같지 않아 보인다는 말로 치환될 수 있다. 외관상으로 따지면 지역 정치권이 일응 약진한 측면이 없지 않다. 전반기 국회의장에 이어, 법무부 수장까지 배출할 것까지 계산에 넣는다면 틀린 시각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일종의 겹경사로 여겨질 만하다.

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대전이 처한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이들 여당 의원들의 역할 공간이 확장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일종의 역설적인 상황으로 읽히는 지점이 아닐 수 없다. 원인을 분석해 들어가면 핵심 요약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기득권 질서에 안주해 있었던 것과 무관치 않다고 본다. 대체로 여당 소속 의원들은 위기의식 면에서 무디기 마련이다. 당정청과 같은 편이기도 하고 당내 규율 때문에 지역구민과 시민의사를 강하게 대변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주저하거나 일부는 자기검열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이는 게 사실이다. 그런 처세술이 개인 신상을 편하게 할지는 몰라도 지역 입장에서는 달가울 리 없다. 그런 식으로는 대전의 핵심이익을 키우기는커녕 현상유지도 버겁다 할 수 있다. 중기부 이전이 단적 예다. 중기부 존치를 호언했지만 맥없이 무너져버렸다. 그 뿐인가. 변변한 플랜B도 없는 듯하고 야성 본능을 일깨우지도 못하고 있다. 총리가 연내 종합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음에도 불구, 누구 하나 이의제기를 꺼려한다. 정책적으로 싸움의 판이 큰 사안일수록 지역 정치권이 원팀으로 결속해야 하고 그럴 때 시민들도 응원을 마다하지 않게 된다. 더 두고 봐야 알겠지만 말로 주고 되로 받을 가능성이 짙을 것이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비단 중기부 문제에 국한되지 않는다. 혁신도시 지정과 맞물려 있는 공공기관 유치 문제도 대전에서 선수를 치고 나와야 하는데 지역 정치권 차원에서 복안을 공유하고는 있는지 의문이다.

정부와 상대하는 지방정부는 `을`의 지위다. 이 비대칭성을 정치권이 메워줘야 하는데 대전의 경우 시민적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현실이다. 핵심 현안 대응력이 떨어지면 여타 정부 재정지원 사업들도 동력을 공급받기 어렵다. 서둘러 전열정비에 나서기를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