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사당 건립 일정이 내년에 순항할지 일각에서 우려감을 보이는 데에는 그만한 사정이 없지 않다. 지금 여야의 냉랭한 관계를 감안할 때 해가 바뀐다고 특별히 달라질 것 같지 않으며, 오히려 갈등지수가 증폭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 당장 균형발전 정책의 핵심인 세종의사당 건립 문제만 해도 예외일 리 없다. 서로 만나 조율 과정을 거쳐야 논의를 진전시킬 수 있는데 여야간에 서먹한 상태에서는 그게 쉽지 않은 노릇이다.

우선 첫 번째 관문인 내년 2월 공청회 개최에 이목이 쏠린다. 이 공청회는 올 정기국회에서 세종의사당 설계비 예산을 확정하면서 합의된 일정이고 그래서 특별히 절차적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동안 여당인 민주당 주도로 실행력이 담보된 국회 이전 계획을 밝힌 바 있지만, 그럼에도 협상의 상대인 국민의힘이 호응하고 나서야 정상궤도 진입이 용이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것은 몰라도 국회 이전 문제만큼은 여야가 머리를 맞댄 가운데 숙의해 결론에 도달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그런 의미에서 2월 공청회는 사실상 여야 합의로 최대 교집합을 창출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려면 무슨 일이 있어도 일정이 뒤로 밀리는 일이 벌어지는 상황을 최대한 경계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번 일정이 무산되면 추후 `기일`을 잡기가 더 난감해지는 상황에 빠지기 십상이다. 여야가 마음만 먹으면 국회 상임위 10개와 윤리특위 등이 들어갈 세종의사당 건립 문제는 일사천리로 진행될 수 있다. 이전 대상 상임위 등이 추려지고 소요 재원 추계도 나와있으며 세종시에는 일찌감치 부지도 점 찍어 놓은 상태다. 그런데 민주당은 채근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당론화에 이르지 못한 채 당 지도부 얘기 다르고 개별 의원 판단 다른 형국이어서 손발을 맞추지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결국 여야 간 이 비생산성의 고리를 끊을 필요가 있고 2월 공청회만 순탄하게 소화하면 세종의사당 건립 일정에 속도감이 붙는다고 봐도 무방하다.

공청회의 중요성과 함께 국회 균형발전특위 구성 가동에도 더는 한 눈 팔 계제가 아니다. 특위 하나 조직해놓으면 행정수도 완성 관련 의제들에 대해 효율적인 논의가 가능해 장외 다툼을 벌일 이유가 사라진다. 세종의사당 뜸은 충분히 들었고 내년에 태업의 시간은 없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