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 장관 교체를 앞둔 가운데 일부 부처 개편과 청와대 참모진을 일신하는 과정에서 이번에도 충청 인사들 입지가 나아질 것 같지 않다는 자적이 나온다. 뚜껑은 열아봐야 알겠지만 현재로서는 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상대로 대전 출신 성윤모 산자부 장관이 물러나면 18개 부처 장관 중 대전·충남 출신 인사는 자취를 감추게 된다. 과거 정부와 비교해도 이 정도로 힘을 못 쓰지는 않은 것으로 기억된다. 흔히 하는 말로 충청을 홀대하는 것인지, 홀대 당하는 것인지 혼란스러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충청권에서 볼멘소리가 높아지는 데에는 그만한 까닭이 있음을 부정하지 말아야 한다. 내각의 경우 두명이 빠지면 한명으로 메우거나, 그 한명이 물러나는 것을 전제로 다른 부처에 충청 연고 인사가 들어가든가 하면 그나마 다행인 형국이다. 이번에도 이 범주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 않는다. 청와대 참모진 진입도 충청 인사들에게는 `좁은 문`이다. 연초에 인적 쇄신을 통해 노영민 비서실장이 나오게 되면 충청 출신 수석비서관 자리는 언감생심이고 비서관급에서도 전멸하는 상황이 초래된다고 들린다. 혹자는 이를 충청 인재풀의 빈곤이라는 시각으로 접근하려고 드는데, 적당한 구실을 빙자한 패배주의적 사고와 무관하다고 보기 어렵다. 충청에 왜 쓸 만한 인재가 없겠는가. 문제는 인재추천을 위한 인적 시스템이라 할 것이며, 이 구조에서 충청의 정치적 발언권이 취약한 현실이면 청와대 진입 벽이 여전히 높아 보일 수밖에 없는 노릇 아니겠나. 청와대로 통하는 충청의 인적 거점은 이렇게 점점 희미해져 가고 있다. 그러니 충청은 지역 현안 문제 해결과 관련해 타지역과의 경쟁에서 비교열위에 놓이거나 후순위로 밀려나는 것이다. 청와대와 내각의 경제·사회부처에 믿음직한 충청 인재들의 공간이 있었으면 많이 달라졌을지 모른다. 중기부 이전 문제가 단적인 증좌다. 대등하게 다툴 수 있는 정치적 동력이 작동했더라면 기관 이전과 보상대책의 동시이행을 담보해낼 수도 있었다는 점에서 열패감을 들게 든다.

그와는 별개로 특정 지역 홀대론이 고개를 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주요 포스트에 사람을 골라 쓸 때는 지역안배의 최소한은 지켜져야 하는 게 맞다. 지역 자존감도 감안할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