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장마전선 영향으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리자 대전 중구 대전천 하상도로가 침수돼 통제되고 있다. 사진=신호철 기자
2017년 7월 장마전선 영향으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리자 대전 중구 대전천 하상도로가 침수돼 통제되고 있다. 사진=신호철 기자
대전시가 지역 하천의 치수 기능을 확보하면서 건강한 하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과거 지역내 빠른 연결과 차량 소통을 목표로 하천변에 깔아놓은 하상도로가 하천 접근 차단, 수질오염 등 일종의 외부불경제를 초래하고 장마철이면 물에 잠겨 본래 기능을 상실한다는 점에서 철거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른바 `도심속 푸른 물길 프로젝트`로 2021년 새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29일 대전시에 따르면 푸른 물길 프로젝트는 하천 재해로부터 시민의 재산과 안전을 지키고 하천을 생태적으로 복원해 테마가 있는 미래형 여가·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내년부터 2030년까지 10년 동안 국비와 시비 등 총사업비 468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프로젝트의 주요공간은 지역 3대 하천으로 꼽히는 갑천, 유등천, 대전천이다.

대전시가 구상하고 있는 선도사업(안)으로는 3대하천 8.8㎞ 구간에 탐방로, 자연학습장, 캠핑장 등을 조성하는 3대하천 명소화 계획을 비롯해 갑천을 횡단하는 스카이워크 설치, 유등천 친수공간 경관 조성, 에코브리지와 생태교육관, 둘레길 등을 만드는 도안누리길 조성사업이 있다. 가장 규모가 큰 사업은 대전천 복원 및 도심활성화다. 푸른 물길 프로젝트 총사업비의 75%를 차지하는 3500억 원(추정치)을 필요로 한다. 핵심은 5.7㎞에 달하는 하상도로 철거안이다.

하상도로는 20여 년 전인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단계적으로 건설됐고 일부 구간은 환경정비, 목척교 주변 정비, 도로정비 등으로 폐쇄된 상태다. 현재 하상도로는 대전 동구·중구 원도심과 둔산권 신도심을 신호 통제 없이 빠르게 연결하고 있다. 교통 수요를 분산해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는 효과가 있는 반면 하천변 인공구조물 설치로 인한 환경오염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고 매년 여름철 집중호우가 내리면 여지없이 침수·통제돼 무용론이 불거졌다. 차량 소통만을 중시하는 하상도로는 역사적 소임을 다했다는 주장도 철거론에 힘을 싣고 있다.

올 1월 중구 옥계동(절암소하천)에서 대덕구 오정동(유등천합류점)에 이르는 대전천(7.86㎞)이 지방하천에서 `국가하천`으로 승격된 것 역시 하상도로 철거를 통한 하천 복원으로 기울게 한 요소다.

승격 당시 정부는 지자체의 열악한 재정으로 최소한의 유지관리만 이뤄져 하천 정비 수준이 미흡하고, 지방하천과 도심지 하천에 집중호우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한 지방하천을 승격 대상으로 삼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국가하천에 대해선 하천 정비, 유지관리에 전액 국비가 지원되므로 하상도로 철거를 포함한 하천 복원에 국비 투입의 문이 열린 동시에 대전시 재정 부담을 덜 수 있게 된 셈이다.

다만 아직은 사업계획 단계여서 조만간 관련 기술용역을 발주해 하천 복원과 도시 재생의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대전천 하상도로 철거와 친환경적 하천 기능 복원에 대체로 공감했다"며 "내년 기술용역 돌입과 함께 시민, 전문가 등으로 협의체를 꾸려 하천의 재해예방과 친수공간 제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지혜를 모으겠다"고 말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