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산업단지 전경. 사진=대전산단관리공단 제공
대전산업단지 전경. 사진=대전산단관리공단 제공
준공 반 세기가 넘어 노후한 대전산업단지의 일대 변혁을 위해선 노사상생형 일자리 모델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한 산단 부지 효율성 증대와 기술고도화가 중요한데 이 또한 노사민정연이 함께하는 의사결정이 우선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8일 대전 경제계에 따르면 대전산단은 지역 산단의 고용인력 43%와 생산액의 77%를 차지하는 중요 산업 거점으로 정부정책에 따른 첨단화 필요성이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준공 50년이 넘어 밑천이 드러난 인프라와 혁신생태계 발전 미흡, 청년층 기피, 입주기업 혁신역량 저하 등 어려움에 봉착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기업의 생산력 저하는 피할 수 없는 `상수`가 됐다.

대전산단 각 입주 기업의 평균 근로자 수는 2016년 14.8명에서 2017년 14.4명, 2018년 13.9명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대내외적 환경도 대전산단에 호의적이지 않다.

개도국 약진에 따른 판매부진과 노령화·우수인재 기피로 인한 기업경쟁력 약화, 코로나 여파에 따른 전반적인 경기 침체는 지역 경제 활성화의 레버리지 역할을 해야 할 대전산단의 아킬레스건이다.

지역 경제의 한 축을 맡고 있는 대전산단의 상징성 등을 고려할 때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은 명확하다. 노사민정연 협력 중심의 차별화 된 일자리 창출 모델이 제시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산단 부지 효율성 증대와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첨단 산단 조성에 기업·노조·지자체·시민이 함께 머리를 맞대는 것이다. 기업은 산단 밖 이전 동의와 환경오염문제 인식 개선, 시설 투자 등에 나서고 노조는 교육훈련을 통한 생산성 강화가 구체적 실천 방안이다.

대전시를 포함한 지자체는 산단 밖 이전이 필요한 기업의 대체부지 마련과 산단 환경개선을, 시민은 `산업단지 혐오`를 벗어난 인식 개선 등이 대안으로 꼽힌다. 기술고도화를 통한 지역상생형 일자리를 찾을 경우, 각 주체별 역할을 찾을 수 있다.

대전산단 입주기업과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업 노동조합, 대전시·대덕구청 등이 어우러져 산단 브랜드 강화와 세부실행을 약속하고 기술고도화·업종전환에 뜻을 모으면 지역상생형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전략적 활용이 필요하다. 국내 연구개발 거점으로 꼽히는 대덕특구는 기술개발과 인력공급의 중추적 역할 수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타 지역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도 대전산단 재생의 방향타를 잡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 IT 산업의 거점으로 성장한 판교 테크노밸리는 많은 기업들이 잇따라 몰리고 있는 국내 대표적인 업무지구로 손꼽힌다. 첨단 R&D(연구·개발) 인프라와 전문 인력이 집적돼 있어 우수한 업무환경을 갖췄다는 평을 받는다. 만성적인 기업 이전과 인력 불균형 등으로 골치를 앓고 있는 대전산단이 참고할 만한 기준이다. 공공·민간임대, 창업공간 확대가 대전산단의 지향점이 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찬술 대전시의원은 "창업자를 포함해 산단 인프라 수요 인원들이 부담 없이 혁신에 열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며 "대전산단의 뛰어난 교통 접근성을 감안해 주택·상업시설 등을 재생 아젠다에 반영하는 것도 혜안이 될 수 있다"고 의견을 보탰다.

배기봉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교수는 "산단 부지 효율화와 첨단화를 통해 2000개 신규 일자리 창출과 산단 생산유발 효과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며 "산단 재생이 원활히 이뤄질 경우 외부 투자 유발과 5G 등 첨단 기업 유치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기술기반 제품 고도화와 업종전환은 민간 주도의 4차산업혁명 융합기술·제품 개발에 용이하다"고 강조했다. (끝)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