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국민이전계정 결과 발표, 45세 노동소득 3354만 원
가장 돈 많이 쓰는 나이 16세, 교육 등에 집중

우리나라 국민은 28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는 흑자 인생에 진입해 45세에 노동소득 정점을 찍고 59세부터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은 적자 인생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7일 이런 내용의 `2017년 국민이전계정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연령별 노동소득과 소비, 연금 등 공적이전, 가구 내·가구 간 사적이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재정 부담이 세대 간에 어떻게 재분배되는지 알 수 있다.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0-27세까지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많아 적자가 발생한다. 적자는 16세 때 3215만 원으로 최대다. 노동소득은 0원이지만 소비가 3215만 원으로 생애주기 중 최대이기 때문이다.

28세부터 58세까지는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인생이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흑자는 45세 때 1484만 원으로 가장 많다. 45세에는 노동소득이 3354만 원으로 정점을 찍는데 소비는 1870만 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9세부터는 다시 적자 인생으로 돌아선다. 나이가 들수록 적자 규모는 커진다. 59세(노동소득 1866만 원·소비 1912만 원)의 적자는 45만 원인 것과 비교해, 65세(노동소득 993만 원·소비 1808만 원)는 815만 원, 75세(노동소득 194만 원·소비 1659만 원)는 1464만 원으로 적자가 불어난다.

직장생활을 그만두는 은퇴가 소득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이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돈을 많이 쓰는 나이는 16세로 나타났다. 이 기간 우리나라 국민은 3215만 원을 지출했다. 16세는 공교육과 보건의료에 1270만 원을, 사교육과 기타 소비에 1945만 원을 쓰는 것으로 집계됐다.

소득이 없는 상태에서 소비 지출이 가장 많은 시기여서 적자 폭도 3215만 원으로 가장 컸다. 2017년 생애 주기 적자 총량은 전년대비 7.1% 늘어난 118조 2000억 원이었다. 소비(999조 2000억 원)는 4.9% 늘어난 데 비해 노동소득(881조 원)은 4.6% 증가한 데 그쳐 생애주기 적자규모는 늘어났다.

적자규모 증가의 원인중 하나인 공공소비는 전년대비 6.7% 증가한 283조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에 견줘 유년층은 5.0%, 노동연령층은 6.0% 각각 증가했다. 노년층에서는 공공보건소비가 큰 폭으로 늘어나며 11.6%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