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혁신도시 예정지인 내포시에 종합병원급 의료기관 건립 사업이 무산됐다. 결과적으로 이번에도 사업시행자의 재무능력이 발목을 잡은 셈이 됐다. 사업자측이 계약을 체결한 이후 13개월 동안 1,2차 중도금을 납부하지 못했으니 공모지침에 의거해 계약을 해지하는 수밖에 도리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충남도 입장도 한가한 처지가 아니다. 종합병원 유치에 일단 실패함으로써 상당히 모양새를 구기기도 했지만 문제는 그게 아니고 다른 방도를 어떻게 찾을 것인가에 있다.

내포 혁신도시내 종합병원급 의료시설의 부재는 여러 면에서 취약점이 될 수 있다. 종합병원급 의료시설은 내포 혁신도시의 정주여건을 규정하는 핵심적 의료복지인프라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에 충남대 세종병원이 진출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만일 내포시 `암센터·300병상` 병원 건립 계획이 순항하는 상황이었으면 전국 어느 혁신도시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었을 것이다. 내·외과 등 11개 진료과목수도 적지 않은 데다 무엇보다 중입자 암치료센터는 독보적인 차세대 암치료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것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아쉽게도 운이 따라주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 해 10월 사업자와 협약을 맺을 때만해도 기대감이 상승했던 게 사실이다. 혁신도시로 지정되기 전의 일이고 그런데도 3700억짜리 병원 건립 사업자가 나타난 상황이니 충남도와 내포시로서는 복이 굴러 들어온 것과 진배없었다. 그런 사업자였지만 알려진 것과는 거리가 멀었던지 사업의 최소 기본조건인 부지매입비를 감당하지 못하는 사달이 났고 끝내 손절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충남도 등은 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상대에 대한 검증에 좀 더 심혈을 기울여야 했다. 더구나 경쟁자가 없는 상태임을 감안해 사업비전 등 외양보다는 끝까지 사업을 책임질 수 있는 재무적·금융적 투자 여력에 한층 돋보기를 대는 노력을 기울였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다.

그런 부분에 관한 철저한 리뷰는 물론이고 두번 되풀이돼서는 안되는 값비싼 수업료를 치렀음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충남도는 당분간 냉각기를 갖되 다시 다른 사업자를 찾아 나서야 한다. 한번 실패를 했어도 종합병원 건립이 내포 혁신도시의 필요충분조건을 구성하는 만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