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요철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본부장
최요철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본부장
`150만 대전시민의 염원 대전 혁신도시 지정 통과` 출근길 가로수 단풍 사이로 펄럭이는 플래카드 문구다. 지난 달 8일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대전광역시 및 충청남도 혁신도시 지정안이 통과됐다. 대전은 대전역세권지구, 연축지구가 충남은 내포신도시가 개발예정지역으로 선정됐다.

지역사회가 혁신도시 지정을 크게 환영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표출하는 가운데, 지자체는 공공기관 유치전에 착수했다. 지역경제가 도약의 전기를 마련한 의미 있는 시점에 경제 규모와 산업구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속 대전·충남 경제의 모습을 들여다보았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는 대전·세종·충남을 관할하고 있는데, 세 지역의 지역내총생산(GRDP) 합은 2018년 기준 167.9조 원으로 전국의 8.8%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 비중 7.6%에 비해 생산 비중이 높은 편이다. 1990년 이후 30년간 인구 비중이 0.5%p(7.1→7.6%) 상승하는 동안 생산 비중은 2.7%p(6.1→8.8%)로 더 큰 폭 증가했다.

그런데 세종은 말할 필요도 없이 대전과 충남은 경제구조가 판이하다. 대전은 GRDP 비중이 전국의 2.2%로 경제규모 순위는 전국 17개 광역 시도 중 14번째다. 산업구조는 서비스업 비중이 78.2%로 서울(91.9%) 다음으로 높다. 특히 연구 개발업을 중심으로 사업서비스업이 발달했는데 서비스업 중 사업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국 최고 수준(23.5%)으로 경기(20.9%), 서울(17.4%)보다도 높다.

사업서비스 외에 공공행정·국방, 부동산업, 도·소매업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제조업 비중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다만 대전은 장기 성장률이 전국을 소폭 하회하면서 GRDP 비중이 1990년(2.4%)에 비해 소폭 하락했다. 충남은 GRDP 비중이 6.1%로 경기(25.2%), 서울(22.3%)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산업구조는 대전과 반대로 제조업 비중이 54.2%로, 울산(60.7%)을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높다.

천안과 아산의 반도체·디스플레이, 서산의 자동차·석유화학, 당진의 철강 등 주력 제조업 생산시설이 충남 북부에 몰려있다. 1990년 3.7%에 불과하던 충남의 GRDP 비중은 2011년 6.6%까지 높아졌다가 2012년 세종시가 분리됨에 따라 2018년에는 6.1%로 낮아졌다.

세종시의 GRDP 비중은 2013년 0.4%에서 2018년 0.6%로 증가했다. 2010년대 초반까지 충남경제의 급속한 성장은 수도권 규제에 따른 반사이익에 주로 기인한다. 1990년대 이후 기업들은 수도권의 공장 신·증설 규제 강화, 높은 땅 값 등을 피해 새로운 생산기지를 확보하는 데 주력했다.

충남 북부권은 수도권 인접성, 낮은 지가, 수출항만 보유 등 지리적, 경제적 장점을 바탕으로 다수의 대기업 생산 공장을 유치할 수 있었다. 충남은 제조업 비중이 1990년 18.2%에서 2018년 54.2%로 상승하는 등 전국에서 손꼽히는 제조업 중심지역으로 변모했다.

한편 201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추격, 글로벌 경쟁 심화, 시장수요 변화 등의 여파로 충남 제조업의 성장 동력이 점차 약화하고 있다. 대전·충남의 입지, 과학기술·제조업 기반 등 기존 이점에 더해 이번 혁신도시 개발 기회를 충분히 활용할 경우 성장 동력을 재충전하고 국가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예정지구 공공기관 유치 전략은 민간기업의 투자와 창업을 최대한 유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 수도권은 블랙홀처럼 대한민국의 인적·물적 자원을 빨아들이고 있다. 1990년 47.3%이던 수도권의 GRDP 비중은 2018년 52.2%까지 높아졌다. 대전·충남은 멈추지 않는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커 보인다.

최요철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본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