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등 광역시 도심에 판교밸리처럼… 대전 자치구 우수 입지 내세워 경쟁

도심융합특구 조성안(예시).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도심융합특구 조성안(예시).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판교 제2테크노밸리 같은 혁신공간을 선도모델로 내세운 정부의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에 대전지역 5개 기초자치단체가 모두 도전장을 내밀며 치열한 경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역 특색에 맞게 산업·주거·문화기능을 융합해 공간을 정비하고,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각종 인센티브가 지원될 예정이어서 도심융합특구는 `대전 혁신도시` 지정 호재와 함께 지역 발전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달 23일 열린 제27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공동안건으로 보고한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은 전국 5개 광역시 도심내 산업·주거·문화 인프라가 어우러진 고밀도 혁신공간 구축을 골자로 한다. 대전을 포함해 부산·울산·광주·대구 등 지방 대도시가 대상이다. 정부가 제시하는 도심융합특구의 국내 모델은 경기 성남시 시흥동·금토동 일원 43만여㎡ 부지에 조성된 판교 제2테크노밸리다. 판교 2밸리는 국토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5개 부처가 창업·벤처기업을 위해 만든 혁신공간이다. 입주사는 현재 450개사로 향후 1000곳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정부는 판교 2밸리 정착을 돕고자 창업기업에 금융지원을 하거나 창업특화공간을 조성하는 등 이른바 패키지 지원정책을 제공했다.

쇠퇴한 방직산업 집적지에서 첨단 지식기반산업지역으로 도시재생에 성공한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포블레노우(Poblenou), 노바티스 등 세계적인 제약회사의 연구개발(R&D)센터가 입주한 싱가포르의 벤처허브 원노스(One-North)는 도심융합특구 조성의 해외 모범사례다. 공공 또는 공공과 민간이 협업해 삶-일-여가(live-work-play)가 균형을 이루는 혁신지구로 평가받는다. 이와 함께 도심융합특구는 도시 외곽에 저밀도 공간으로 개발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도시 중심지에서 고밀도 개발이 이뤄지고, 수도권 소재 기업이 이전하면 이전지원금 혜택을 주거나 R&D·사업화를 지원하는 기업 유치방안도 포함하고 있다. 5대 광역시 기초단체들 사이에서 사활을 건 도심융합특구 경쟁전이 펼쳐지고 있는 배경이다.

대전 5개 자치구도 공히 도심융합특구 사업후보지 신청서를 제출하며 각축전에 나섰다. 먼저 동구·대덕구는 혁신도시 개발예정지인 대전역세권지구, 연축지구와 도심융합특구 간 연계성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각각 철도·교통 혁신클러스터,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의 성장을 혁신도시 비전으로 삼고 있다. 대전 신도심인 서구와 유성구는 풍부한 주거·상업·문화 시설과 세종·충남·전북권역으로의 양호한 접근성, 부지 확보의 용이성에 방점을 찍을 수 있다. 중구는 대전역과 인접한 원도심으로 도시재생 관점에서 도심융합특구 지정의 필요성을 어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5개 자치구 중 비슷한 여건의 원도심으로 분류되는 동구·대덕구가 혁신도시 입지예정지로 일찌감치 결정되면서 중구 지역사회에서는 상대적인 박탈감을 호소하는 분위기도 적지 않다.

정부는 50만㎡ 이상 부지 확보가 까다롭지 않고 대학이나 공공기관 등 핵심기관과 연계성, KTX 정차역 등 교통 편리성, 주거·상업 등 생활여건 우수성을 도심융합특구 입지조건으로 후보지를 살펴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역 부동산시장 과열을 우려해 지자체에 부동산가격 안정화 방안을 요구하는 한편 규제지역으로 묶거나 토지거래허가구역 등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16일까지 5개 광역시별로 후보지 신청을 받아 현장실사 등 평가를 통해 연말쯤 사업지를 선정한 뒤 내년부터 기본계획 수립, 특별법 제정, 특구 지정을 거쳐 2022년 도심융합특구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