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판 뉴딜에 `지역균형`을 추가하고, 각 지자체에 창의적인 사업 발굴을 주문한 것과 관련해 대전시가 경부·호남선 철도 지하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한다. 도시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철도 지하화를 대전의 그린 뉴딜사업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이 사안은 워낙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관계로 중앙정부를 설득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일이 중요하다. 시는 도시 발전의 백년대계가 걸려있는 만큼 논리 개발과 시민 역량을 모으는데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

도심을 관통하는 철도의 지하화가 공론화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04년 4월 KTX 개통에 앞서 경부선 대전역사를 포함해 대전 통과 구간이 지하화로 진행되다가 예산 등의 문제로 지상으로 변경됐다. 이는 KTX역사가 들어서는 대구와 부산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정부가 도심 관통 철도의 지하화를 꺼렸던 가장 큰 이유는 예산 때문이었다. 철도가 도심을 관통하는 도시의 지하화 요구를 모두 들어주면 천문학적인 재정이 들어간다고 본 것이다. 대신 중앙정부는 거액의 국비를 들여 경부선 철도변 정비사업 등으로 시민 반발을 무마하는데 안간힘을 쏟았다.

하지만 이제 사정이 달라졌다. 무엇보다 경부·호남철도 지하화에 소극적이던 대전시의 태도가 변한 것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21대 국회 개원 전인 지난 5월 국회의원 당선인을 초청한 자리에서 경부·호남선 철도 지하화를 주요 과제로 거론하며 협조를 구했고, 이번에 대전형 뉴딜 100대 과제로 선정해 사전 타당성 용역에 필요한 국비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미 부산시의 경우 지난해 말 관련 용역에 착수한 바 있으며, 대구시도 내년에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대전시의 요구는 온당한 것이라는데 중앙정부도 이의를 달지 못할 것이다.

고무적인 것은 지역 내 불균형 발전과 단절 해소 차원에서 철도 지하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됐다는 점이다. 당시와는 달리 국가 재정규모가 커지고 도시 발전추세가 급변한 것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관건은 대전시가 어떤 명분과 논리로 중앙정부를 설득하고, 여론을 결집시키느냐가 될 것이다. 시가 철도 지하화에 시동을 건 만큼 민관정의 역량을 모아 보다 계획적이고 치밀하게 추진했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