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국회 각 상임위별로 국정감사 일정이 시작돼 중반에 접어들고 있다. 때가 때인 만큼 지역 출신 의원들의 국감 활동을 전하는 언론보도나 방송 등의 실시계 중계를 통해 지켜보는 지역민들이 적지 않다. 여야를 떠나 충청을 대표하는 의원들이 지역발전과 직결된 사안들을 제대로 챙기는 모습을 보이는지 궁금해 하기 때문일 것이다. 역으로 의원들 입장에서 보면 국감은 개인별 역량과 존재감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다. 특히 지역 관련 현안을 잘 파고들거나 이슈화하게 되면 자신의 주가가 올라가는 발판으로 삼을 수 있는 장(場)이 국감이다.

이런 현실에 기초해 초반 지역의원들 국감 점수를 매긴다면 대체로 무난하다는 생각은 든다. 상임위를 특정할 것까지는 없지만 소속 상임위 국감에서 발언이 돋보이는 의원들이 눈에 띄는가 하면, 일부 의원들은 지역민들이 가려하는 곳을 긁어주려고 준비한 흔적이 확인된다는 평가가 나오는 상황이어서다. 그런 반면에 충청 의원들 전체 평점은 아직은 기대 수준과 거리감이 느껴지는 것도 부정하기 어렵다. 한마디로 말하면 소위 이슈 파이팅 측면을 꼽게 된다. 이슈 파이팅은 지역 현안 사업들에 대한 정책 이해도과 맞물리는 구조라고 볼 때 이 부분 취약하면 정부부처 수장들을 설복시키기가 버거워지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아직은 시간적으로 여유는 있다. 대전과 충남의 경우 지역 의원들이 국감 때 소관 부처를 채근하고 필요에 따라 논리성·합목적성에 근거해 상대를 압박해야 할 현안들이 수두룩하다. 예컨대 대전 의료원 설치 문제는 순항하고 있는지 따져 물어야 하고, 예비타당성 조사가 지연되기만 하는 가수원-논산간 호남선 직선화 사업도 동력이 시들한 만큼 아무일 없다는 듯이 넘어가면 곤란하다. 또 서해선 복선전철 서울 직결 방안도 수면 아래 잠복 모드인데 이렇게 해를 넘기는 구도로 가도 되는 것인지 문제의식을 가져야 마땅하며, 평택-오송 복복선 전철의 천안·아산역 설치 건도 구체적인 진척이 있는 것인지 의문을 품어야 한다.

이들 현안과 씨름하는 사이 시간을 적잖이 허비했다. 시간이 흘렀으면 그에 비례해 정책이 숙성돼야 상식에 부합한다 할 것인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번 국감에서 대(對)정부 긴장지수를 최대한 높여놔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