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지사가 어제 예산에서 열린 생태복원 국제컨퍼런스에서 서남해안 연안·하구의 생태복원을 위해 해당 지자체간 연대를 제안했다고 한다. 양 지사는 이 자리에서 경기 화성호, 전북 새만금호, 전남 영암호·금호호 등을 거론하며 충남 부남호를 포함해 서남해안 연안·하구 복원정책의 실질적인 실천 기반과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자고 역설했다. 이미 부남호 역간척을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는 양 지사의 이같은 제안은 서남해안 일대가 무분별한 간척사업으로 환경오염과 수사자원 고갈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실현성 여부를 떠나 의미 있는 일로 받아들여진다.

그동안 우리의 경우 역간척을 비롯해 연안·하구의 생태계 복원 문제는 논외의 대상이었다. 식량 증산의 필요성에 따라 서남해안의 갯벌을 막아왔던 개발연대의 논리가 앞섰기 때문이다. 더구나 4대강 가운데 한강을 제외한 3대 강의 하구를 막아 농업용수 확보와 홍수방지 등의 다목적 사회간접자본으로 활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부처간, 지역간 이해 충돌도 이런 논의를 확대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금강하구둑만 해도 충남에서는 해수 유통을 주장하고 있지만 전북의 반대로 진전이 없는 상태다.

익히 알려진 대로 연안·하구 생태계의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네이처지에 따르면 호수·하천의 2.7배, 갯벌의 2.3배, 산호초의 3.8배, 농경지의 250배에 이른다는 보고도 있다. 또 육성 퇴적물의 공급으로 연안환경 유지와 재해 방지, 연안생물의 서식처, 회귀성 어류의 통로, 치패와 치어의 성장, 육성폐기물 정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이런 하구 생태계를 되살리자는 움직임은 선진국에서는 활발하다. 이 가운데 하구 생태계 복원의 핵심인 역간척은 훼손된 하구와 간척호, 해안과 갯벌의 기능 복원과 함께 지속가능한 이용과 지역발전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네덜란드나 독일 등 북해에 접한 나라에서 많은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충남도는 앞으로 서남해안 일대 담수호의 역간척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해당 지자체 등과 연대해 국가 사업화를 위한 발걸음을 내딛을 계획이라고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법적 재정적 뒷받침이 필요하지만 당장은 이를 공론화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일부터 차근차근 준비했으면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