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재추진 방안 장고에 들어가…재정 수반 공영개발 후순위 둬

한산한유성복합터미널사업예정지
민간사업자 공모가 모두 무산된 대전 유성구 구암동 대전도시철도 1호선 구암역 인근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예정지. 신호철 기자
한산한유성복합터미널사업예정지 민간사업자 공모가 모두 무산된 대전 유성구 구암동 대전도시철도 1호선 구암역 인근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예정지. 신호철 기자
`민간 재공모냐, 제2의 대안 마련이냐.` 10년째 헛바퀴만 돌고 있는 유성복합터미널 조성사업 재개 방안에 대해 대전시가 장고에 들어갔다. 그간 네 차례에 걸쳐 민간사업자 공모가 좌초되면서 무용론과 함께 공영개발 등 새로운 방식이 거론되고 있지만 민간자본에 의한 대규모 개발 기대감이 높아질 대로 높아진 마당이어서 거센 후폭풍을 감수해야 한다. 또 시 재정을 투입한 공영개발은 혈세 투입 등 재정 건전성 악화 우려가 상존해 시민 반대에 부딪힐 공산이 적지 않다. 9월 21일 4차 공모 무산 이후 이달 말까지 40여 일 장고 끝에 시가 내놓을 새 방안에 지역사회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유성복합터미널 건설사업 추진안은 4가지로 요약된다. 먼저 민간공모다. 2010년 3월 1차 공모를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 2차, 2013년 7월 3차, 2017년 8월 4차 공모까지 번번이 실패했다. 그렇지만 민간공모 카드가 매력적인 건 시가 재정 부담을 덜 수 있고 시민들에게 단순 여객터미널이 아닌 상업적 기능을 포괄한 복합시설을 선보일 수 있어서다. 직전 민간사업자는 7158억 원을 투입해 복합터미널에 업무·근린생활·판매·문화 시설 등을 입지시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었다. 관건은 공모 참여 기업의 자본조달능력이다. 지난달 4차 공모 무산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을 끝까지 마무리할 수 있는 규모 있는 기업의 참여가 중요하고 대형사업이라는 점에서 실제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판단한다. 다시 민간공모로 추진한다고 가정했을 때 사업성을 높일 필요가 있고 참여기업의 입찰자격도 강화해야 한다"는 언급이 나온 배경도 같은 맥락이다.

시는 이 같은 셈법에 따라 여러 기업에 사업 의향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부 검토를 거친 뒤 답하겠다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기업도 있다는 게 시측의 귀뜸이다. 시 관계자는 "시와 대전도시공사가 투 트랙으로 유통사, 건설사 등 다양한 주체와 접촉을 해왔고 개중엔 검토 후 답변을 주겠다는 곳도 있다"며 "다만 현 시점에선 예단하기 어렵고 무엇보다 조성사업의 완공을 담보할 수 있는 확고한 의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한 만큼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민·관 합동형 공모방식은 김재혁 대전도시공사 사장이 제기했다. 김 사장은 취임에 앞선 시의회 인사청문간담회에서 사업 정상화 방안을 묻는 시의원들 질의에 "공사와 민간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식으로 가는 게 좋다고 보는데 협의할 곳이 많아 굉장히 조심스럽다"고 답했다. 유성복합터미널 사업시행자인 도시공사가 민간기업과 함께 공모에 참여하는 것으로 사업 신뢰도 제고 효과와 원활한 자금조달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공사가 합동공모 경험이 없다는 게 위험요소다.

또, 도시공사의 직접투자사업 방안도 거론되고 있지만 사업의 불확실성 해소 및 안정적 운영은 긍정적이지만 사업성이 악화될 경우 공사 재정 악화를 피하기 어렵다. 공사 관계자는 "공사가 직접투자를 하려면 회사채를 발행해야 하는데 재정 여력상 쉽게 볼 문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밖에 시 재정으로 충당하는 공영개발은 시 내부적으로 후순위 카드다. 공영개발로 터미널을 조성하려면 1500억 원 안팎의 예산을 쏟아 부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간 민간사업자들이 제안한 수천억대 개발 규모 대비 사업 축소가 불가피해 시민 수용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부담이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