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2부 장진웅 기자
취재2부 장진웅 기자
대전은 과학도시로서 인프라를 충분히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정부 출연 연구기관 다수와 과학기술 특성화 교육 기관인 KAIST 등이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입주해 활약하고 있다. 또 혁신성장 종합지수가 지난해 기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압도적 1위를 차지하면서 향후 발전 가능성도 충족한 상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대전시가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반복되고 있다. 1993년 대전 엑스포와 대덕특구를 통해 과학도시란 이미지가 어부지리처럼 얹어졌지만, 이를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으로 활용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대전시와 대덕특구 간 소통 부재도 허울뿐인 과학도시란 비판을 사게 한다.

민선 7기 대전시에선 다른 행보가 진행 중이다. 허태정 시장은 최근 지역 콘셉트를 `혁신적이고 젊은 과학도시`로 설정하라고 주문했다. 이미지뿐인 과학도시를 보다 구체화하고 형상화해 지역의 정체성으로 확고히 하란 지시다.

허 시장의 의지는 지난해 말 과학산업특별보좌관제를 도입하면서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민병권 대전테크노파크 바이오팀장을 초대 과학산업특보로 임명하고 과학·산업 현장과의 소통과 정책 지원 역할을 부여했다. 이어 내년 1월 공식 출범을 앞둔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초대 원장으로 고영주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선임했다. 진흥원은 대덕특구 과학기술의 지역 자원화를 목표로, 정책 기획과 사업 발굴 등에 집중할 계획이다. 전국 최초로 과학부시장제를 도입하면서 절정을 이룬 모습이다. 허 시장은 고 원장과 같은 출연연 출신 인사이자 과학계 원로인 김명수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을 초대 과학부시장으로 임명했다. 김 부시장은 대덕특구와 가교 역할을 맡게 된다. 이처럼 과학 정책 추진을 위한 삼각편대가 갖춰지면서 허 시장의 과학도시 구축을 위한 과학 정책 라인도 갖춰졌다.그러나, 이에 대한 우려가 없는 건 아니다. 일각에선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준비를 마친 대전시가 허울뿐이 아닌 진정 과학도시로 거듭날지 궁금하다. 장진웅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