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민·관·정이 어제 행정수도 완성 및 국가균형발전 협의회(이하 협의회)라는 이름으로 뭉쳐 출범식을 가졌다. 역내에 활동목적과 방향성이 같은 시민사회단체가 많지만 이 협의회는 이를테면 완성형 조직체로 규정해도 손색이 없을 듯하다. 우선 적잖이 중량감이 느껴질 뿐 아니라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단위 역량들을 하나로 묶은 사실이 눈에 들어온다. 사실상 550만 충청민의 여론과 집단의지가 이 협의회로 수렴돼 분출될 것임을 예고하는 지점이라 할 것이다.

협의회 구성 면면을 보면 말 그대로 민·관·정이 고루 망라돼 있음을 알 수 있다. 4개 시·도지사 및 광역의회의장단을 비롯해 현역 정치인 그룹,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이 큰 우산을 함께 펼쳐 든 것이며 결집력이 극대화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따름이라 여겨진다. 충청권은 행정수도 완성·균형발전과는 불가분의 상관관계를 형성한다. 그런데도 두 핵심 정책의 불확실성과 모호성이 여전한 편이라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5년 전, 10년 전 상황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냈냐 하면 그렇다고 답하기가 망설여지기 때문이다. 냉정히 평가하면 매 번 뜸을 들이기만 했을 뿐이지 행정수도 완성 문제도,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포함한 균형발전 정책도 충청권을 겉돌았다고 보는 게 현실적 진단이다. 행정수도 완성은 나라의 장래를 위해 반드시 관철돼야 할 사안이며 균형발전 정책도 그와 맞물려 있는 까닭에 같이 굴러가지 않으면 애초 시작을 하지 않은 것만 못하다 할 것이다. 전도가 흐릿하기는 하지만 그럴수록 충청권이 전위에서 일치된 목소리를 내는 한편, 때로는 정부 등을 떠밀어야 하고 때로는 여야 정치권을 상대로 여론전도 불사하는 결기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마침 행정수도 협의회가 만들어진 마당이니 이를 강력한 지렛대로 삼기 나름이다. 만인이 열망하고 원하면 마냥 외면하지는 못하는 법이다.

행정수도 협의회를 띄운 만큼 각오를 새롭게 해야 한다. 인적 구성 등 외양이 그럴듯해도 역내에서만 목청을 돋우는 식에 그치면 협상력이 붙지 않을 수도 있는 노릇이다. 어디에 문제가 있고 무엇이 걸림돌로 작용하는지 정확하게 판별하는 게 우선이다. 그런 다음 구도와 판을 유리한 국면으로 이끌기 위한 실효적인 행동들로 뒷받침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