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인구 감소세가 고착화·구조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위기의식을 갖고 대응하지 않으면 시간은 대전 편이 아님을 각종 통계지표는 말해주고 있다. 통계청의 `향후 전국 인구전망` 자료에 따르면 10년 후엔 144만 명대로 떨어지고 20년 후엔 140만 명이 무너져 139만 명 선에 턱걸이 할 것이라고 한다. 지난 2016년 대전이 인구 150만 명을 넘겼을 때와 비교하면 앞으로 10만 명 이상이 꾸준히 지속적으로 대전을 빠져나가는 상황이 현실화된다. 웬만한 보통시를 구성하는 인구가 사라지는 것으로, 여간 난감한 일이 아니다.

대전 인구 유출을 자극하는 최대 요인으로 지난 2012년 세종시 출범이 지목된다. 특히 정부부처 등 중앙행정기관의 3단계 세종 이전이 완료되면서 대전 인구 전출의 변곡점을 맞았다고 보면 틀리지 않는다. 총전출에서 총전입을 뺀 숫자만큼 대전 인구가 줄어드는 패턴이 자리잡은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는 관련 통계 자료를 통해 충분히 확인되는 사실이다. 대전 입장에서 세종시 존재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있는 지자체이지만 인구 경쟁 측면에선 갈수록 버거운 상대라는 이중적 속성을 갖는다 할 수 있다. 문제는 지금까지도 그랬지만 행정수도 완성이 가시권에 들어오면 대전 상황은 더 악화될 가능성이 엄존할 것이라는 점이다. 아직은 야금야금 인구가 줄어드는 것처럼 비칠 수 있으나, 행정수도라는 폭발적 호재가 눈앞에 펼쳐지면 사람들 심리는 가까운 미래에 더 큰 이익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종을 외면하기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면서 대전 주민등록인구의 탈(脫)대전 현상은 임계점을 찍을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런 현실과 전망에 비추어 보더라도 대전은 인구정책에 관한한 각별히 각성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장기플랜부터 도출해야 하며 당장의 인구 방어를 위해 실효적인 정책단위들을 행정에 유기적으로 접목시키려는 노력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를 세종과 맞대결하라는 얘기로 이해하면 단견의 소치다. 대전의 지정학적 이점을 지렛대로 활용하면 대전이 성장할 수 있는 활로를 열지 못할 이유가 없다. 이를테면 세종 행정수도의 잉여 자산을 명실상부한 광역지자치인 대전이 공유하고 분점하는 구도를 만들어나가는 지혜와 안목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