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주민 등록문화재 지정 신청 "역사적 가치 넘쳐"
존폐 갈림길 심의위원회 24일 열려 귀추 주목

등록문화재 지정이 추진되고 있는 대전 철도관사촌의 `관사16호`. 사진=철도관사촌 살리기 운동본부
등록문화재 지정이 추진되고 있는 대전 철도관사촌의 `관사16호`. 사진=철도관사촌 살리기 운동본부
대전의 근대 역사를 담고 있는 소제동 철도관사촌이 존폐 기로에 섰다. `대전 역사가 고스란히 쌓인 곳을 지켜야 한다`는 시각과 `낙후 지역에 대한 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맞부딪치고 있는 형국이다.

23일 대전시와 철도관사촌 살리기 운동본부에 따르면 24일 오후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 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삼성4구역 재정비촉진계획(변경)` 결정을 위한 재정비심의위원회가 개최된다. 지난 6월 주민공청회 이후 관사촌이 포함된 삼성4구역에 대한 재정비촉진계획이 실질적으로 판가름 나는 자리라서 안팎의 이목이 집중된다.

소제동 일원은 1905년 경부선, 1914년 호남선 부설과 함께 철도노동자들을 위해 조성된 공간으로, 대전이 내륙 거점도시로 성장하면서 `동관사촌`으로 불렸다. 대전원도심의 북관사촌과 남관사촌으로 불리던 원도심 일원은 한국전쟁과 도시개발로 대부분 소실됐다. 대전시는 지난 6월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개발계획(변경)` 공청회를 열어 역세권 재정비촉진계획에 대한 종합적 재검토 및 철도 관사촌을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거버넌스가 참여한 협의체 구성 등의 의견을 수렴했다.

하지만 당시 패널로 참석했던 시민 등은 시가 공청회에서 모인 의견과 관계없이 아파트를 건설하기 위한 행정절차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삼성4구역 재개발 계획과 나아가 대전 역세권 개발 계획에 소제동 철도관사촌의 보전방안을 반영할 것을 요구했지만 시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는 주장이다.

이에 철도관사촌 살리기 운동본부는 최근 성명을 내 대전시와 재정비심의위원회 심의위원들의 책임 있는 행동을 촉구했다. 이요섭 본부장은 "시는 지난 공청회에서 많은 시민들과 전문가들이 관사촌 보전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로 의견을 냈음에도 그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았다"면서 "시민 의견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재개발을 몰아붙이는 시의 무책임한 행동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시는 철도관사촌 활용방안과 관련해 일부 시설을 별도로 이전하겠다는 방침이다. 허태정 시장은 지난 6월 시정 질의에서 철도관사촌에 대해 `이전해 보존하겠다`는 중재안을 내놨다.

하지만 반론도 나온다. 최근 일부 주민을 중심으로 철도관사촌의 가치를 재조명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관사 4채에 대한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은 "철도를 기반으로 한 대전의 도시와 생활 흔적이 남아있고, 당시 건축구조 등을 살필 수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다"며 등록문화재 신청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덧붙여 목포, 군산, 순천 등 지자체 차원의 근대도시 경관 보전 노력이 대전시에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는 한 시민은 "역사적 의미가 충분한 지역과 건물 등을 문화재로 지정하고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며 "대전 철도관사는 다른 지역보다 핵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화재청은 2018년 근대문화유산의 입체·맥락적 보존과 활용을 위해 위하여 선(線)·면(面) 단위 문화재 등록제도를 신규 도입했다. 그 결과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군산 내항 역사문화공간`,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3곳이 문화재로 등록 고시됐다.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대전 철도관사촌 보존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내건 현수막. 사진=김용언 기자
대전 철도관사촌 보존을 요구하는 시민들이 내건 현수막. 사진=김용언 기자
소제동 철도관사촌에 대한 등록문화재 신청을 환영하는 현수막. 사진=김용언 기자
소제동 철도관사촌에 대한 등록문화재 신청을 환영하는 현수막. 사진=김용언 기자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