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 대구-경북, 광주-전남, 부산-울산-경남 등

대전·세종시 전경 [사진=대전일보DB]
대전·세종시 전경 [사진=대전일보DB]
남도발 지역통합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대구-경북은 `특별자치도` 출범시한을 포함하는 구체적 로드맵까지 내놓으며 행정통합을 본격화하고 있고, 부산-울산-경남(부울경)에선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논의가 한창이다. 지역통합론은 광주-전남을 지나 중원인 대전으로도 옮겨 붙었다. 인접한 세종에 통합을 제안한 대전시는 전국적으로 분출하고 있는 지역간 통합 논의의 향방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전-세종의 중장기적 통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지자체간 행정통합은 현 시점에서 대구-경북이 가장 근접해 가고 있다. 양 지역의 통합은 지난해 말 이철우 경북지사가 "수도권으로 돈과 인력이 몰리며 고사 위기에 처한 지역을 살리자"고 제안한 것을 시작으로 급물살을 탔다. 이어 대구경북연구원 행정통합연구단은 올 5월 대구·경북 행정체계를 현재 `1광역시 8개 구·군-1광역도 23개 시·군`에서 `대구경북특별자치도 32개 시·군·구`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하는 `대구·경북행정통합 기본구상`을 발표했다. 통합에 쟁점이 되는 명칭, 대구시와 경북도의 지위, 찬반 주민투표 시기, 재정 배분 문제 등을 결정할 공론화위원회 출범도 앞두고 있다. 두 지역은 2022년 7월 특별자치도 출범을 목표로 연내 `대구·경북 행정통합특별법`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부울경에서는 인구 800만의 동남권이 제2의 국가성장축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공감대 아래 부산연구원·울산발전연구원·경남연구원이 광역공동체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연구진은 지난 14일 1차 중간보고회에서 4대 목표로 생활공동체, 경제공동체, 문화공동체, 행정공동체 기반 마련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광주시는 국가균형발전과 도시 경쟁력 제고 등을 명분으로 광주·전남 행정통합 논의를 공식 제안하면서 기본구상, 연구용역, 향후 계획 수립 등 실무 준비에 돌입하기로 했다.

이들 지역이 실질적인 행정통합을 향해 속도를 내는 것과 달리 지난 7월 말 대전-세종 통합을 깜짝 제안한 대전시의 셈법은 복잡하다. 지역 최대 현안인 대전 혁신도시 지정이 선결돼야 하고, 세종은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행복도시법)에 근거해 2030년 인구 50만의 자족도시를 만드는 게 먼저이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이 같은 판단에 따라 세종과 협력관계를 확대할 수 있는 사업이나 과제를 발굴해 공동 추진하는 한편 대전세종연구원에 `대전·세종 경제생활권 활성화 방안` 연구를 맡겼다. 양 지역을 하나의 경제생활권으로 묶는 것을 전제로 이후 중장기적 관점에서 행정통합 계획까지 면밀히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대전과 세종은 상호 지리적으로 가까워 이미 공동생활권을 형성하고 있고 향후 통합된다면 200만 인구의 광역도시로 성장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지역통합으로 가야 한다"며 "다만 대전지역 숙원인 혁신도시 지정과 이전공공기관 유치를 마무리해야 하고 세종 역시 관련법에 따라 도시기능을 완성한 다음 시민들의 동의 위에서 실질적인 통합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