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3부 김용언 기자
취재3부 김용언 기자
수년 전부터 정부는 국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중요성을 주창하고 있다. 전국 중소기업에 인공지능(AI) 등을 필두로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기술을 적극 개발해 줄 것을 권장하고 있다. 멍석을 깔아줄테니 마음 놓고 역량을 펼쳐보라는 셈이다.

중소기업들이 유연하게 연구개발에 나설 수 있는 건 반가운 일이다. 각각의 독창적인 연구개발을 위한 기업 산하 부설연구소는 전국 곳곳에 위치해 있다. 풀뿌리 연구 환경이 갖춰진 구조. 대전에도 적극적인 연구개발에 나서는 기업들이 다수 있다. 대전산업단지의 한 중소기업은 매년 많은 비용을 들여 기술 개발에 매달리고 있다. 업계 1위의 기술력을 갖춘 회사인데다 정부가 뽑은 우수 혁신제품 반열까지 올랐으니 장밋빛 청사진이 그려질 만 하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앞서 선보인 다른 신기술의 경우 빛을 보지 못한 채 마땅한 활용방안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금(金)이야 옥(玉)이야`로 만들어 낸 기술을 해당 분야를 대표하는 공기업과 지자체가 가져다 쓰길 바랐지만 `국내외 기술 적용 사례가 없다`는 매몰찬 반응이 돌아오기 일쑤였다고 한다.

매년 수많은 중소기업들이 신기술을 선보인다. 기술력을 인정받아 성공하는 기업이 있지만, 반대의 경우가 대다수다. 더 억울한 건 인정받을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기업이다. 새로운 기술의 수요자격인 공기업과 지자체 담당자들 사이에선 외국산 제품에 대한 맹신과 중소기업에 대한 괄시가 아름아름 퍼져 있는 게 사실이다.

이런 점 때문에 중소기업들이 개발한 우수한 기술은 유야무야 사라지곤 한다. 정부 등의 연구개발 지원 체계는 개선점이 명확하다. 중소기업 연구소의 현실을 잘 반영해 R&D와 연계된 세제 혜택, 기술금융, 공공구매제도 등을 적극 장려해야 한다. 중소기업이 만든 기술을 색안경 없이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전문 평가관리기관의 역할도 재정립해야 한다.

코로나19 어려움은 누구에게나 예외일 순 없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우리 주변 중소기업의 기를 살려야 한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이듯, 기술을 구할 대책을 넘어 `쓸` 고민이 먼저다. 취재3부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