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연 연구인력, 중소기업 지원 기피 현상
기술이전료 인센티브 부여·정부포상 등 활용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소기업에선 기술 연구개발과 관련해 양질의 연구인력이 필요하지만, 정부 출연 연구기관(출연연) 연구인력들의 참여율이 낮아 개선 대책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6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최근 공개한 `출연연 연구인력을 활용한 중소기업 지원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석·박사 연구원 비중이 중소기업은 23.2%로, 대기업(49.5%)의 절반 수준에 그치면서 연구개발 인력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에서 자체 기술 개발 수행 시 연구개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느끼는 한편, 개발 기술이 사업화에 실패하는 이유로도 전문인력 부족을 꼽고 있다.

정부에선 출연연 연구인력의 중소기업 지원(파견) 사업을 하고 있지만, 연구인력들의 참여 기피 현상으로 활성화가 떨어지고 있다. 중소기업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연구인력을 320명이 전담하고 있어 기술적 지원의 한계도 존재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인력들은 기업 지원 업무 시, 기존 연구의 경력 단절로 인해 기업 지원 업무를 꺼리고 있다. 더불어 연구인력들이 본연의 연구와 중소기업 지원을 병행하는 업무에 부담을 느끼고 있고 동시에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인력들은 지원 업무 참여 시 개인평가에 대한 불이익이 발생하거나, 기초연구를 이어가기 힘들 것이란 우려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보고서에선 연구인력에 합리적인 보상과 인식 개선을 통해 지원 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제언하고 있다. 우선 연구인력에게 기술이전료를 인센티브로 부여한다면, 파견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함께 연구인력의 명예 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대통령 포상과 같은 국가적 차원의 보상체계를 연 1회 시상하거나 NST 포상제도를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 밖에 역량 있는 연구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개인·업적평가 등에 중소기업 지원 실적을 명시하는 것도 제의했다.

보고서에선 참여에 한계가 있는 현직 연구인력이 아닌 은퇴 과학자를 활용한 중소기업 지원 방안도 소개했다. NST에선 향후 3년 이내 출연연(25개) 퇴직 과학자 규모를 1000여 명으로 예상한다. 이들과 같은 고경력 연구인력의 경우 중소기업 상황에 맞는 기술 개발 컨설팅부터 기술지도·자문, 현장 애로 기술 해결 등 전주기 관점의 지원 업무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진웅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진웅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