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휴일을 거치면서 의료파업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어제 회의에서 집단휴진 등 단체행동을 계속하기로 했다. 지난 28일 파업을 끝낸 대한의사협회도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에 불응한 전공의 10여명을 고발하자 내달 7일부터 3차 총파업을 예고했다. 의대생들을 대표하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역시 대표자 회의를 열어 국가고시 거부 및 동맹휴학 등 기존의 집단행동을 이어나가기로 했다. 의대 교수들도 제자들이 불이익을 당하면 집단행동을 하겠다고 천명했다. 이런 상황이 현실화되면 당장의 진료공백을 넘어 의료체계가 마비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이견으로 촉발된 의료파업이 의료대란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해할 의무를 지닌 정부와 국민의 생명을 다루는 의료계의 엇갈린 시선으로 국민만 고통을 감내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마침내 지난 주에는 부산과 의정부에서 응급환자가 진료를 받을 병원을 찾아 전전하다가 끝내 목숨을 잃는 사례도 있었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치에 엉뚱한 희생양이 나온 것이다. 얼마나 더 많은 이들이 희생돼야만 이 사태를 끝낼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코로나19가 재유행하면서 수도권은 어제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등 방역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하지만 하루 신규 확진자가 300명대를 유지하고 있는데다 전국으로 n차 감염이 진행되면서 초비상이 걸렸다.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신규 확진자 가운데 고령층의 비중이 커지면서 중중환자도 늘고 있다는 점이다. 병상 확보는 물론 현장 의료진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마당에 의료계가 다시 집단 휴진과 총파업을 운운하는 것은 명분도 없거니와 환자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 행위에 다름 아니다.

정부는 이번 의료파업의 빌미가 된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등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의료계도 자신들의 주장이 충분히 전달된 만큼 진료현장으로 돌아와 소명을 다하기 바란다. 정부에 대한 불신은 이해하지만 집단행동이 길어져 감정대립으로 번지면 파국에 이를 수밖에 없다. 모두 한발씩 물러나 대화로 해결하길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