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신탄진역에서 분기해 인근 대덕구 평촌동 소재 대전철도차량정비단을 연결하는 연장 1.6km의 인입선로 이설 사업이 지지부진한 모양새다. 당초 구상은 올 상반기 착공이었으나 물 건너 간 상황이다. 그런데다 실시설계도 완료되지 않았다고 하면 하반기에 첫 삽을 뜨는 것조차 불투명하다. 문제의 인입선로 이설사업비는 국비·시비가 1대 1 매칭 비율로 부담하는 방식인데, 추가 사업비 재정분담 문제를 놓고 대전시와 철도시설공단이 시각차가 보이고 있다고 한다. 양 기관의 갈등이 갈길 바쁜 신탄진 인입선로 이설 사업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신탄진 인입선로는 이 지역 도심을 40년간 양분시켜왔다. 그뿐인가. 6차선으로 확장된 국도 16호선에 매립형 단선 선로가 가로지르고 있어 교통체증의 걸림돌이 된지 오래며 철도 교통사고의 위험성도 상존하고 있다. 기형적인 철도 구조물이 아닐 수 없으며 이 시설을 걷어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답은 이미 나와 있다. 대신 경부선로 인접 회덕역과 대전철도차량정비단 간 1.7km 를 이어주면 문제는 깨끗이 해결된다. 이를 결정해 놓고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하더니 한해 두해 시간을 허비하다가 지금에 이르고 있다. 총사업비 증가라는 변수가 생긴 게 발단이긴 하지만 그것도 대전시와 철도시설공단측이 대화하고 타협하기 나름이다. 당초 총사업비는 380억 원으로 잡혀있었으나 대체 인입선로 예정지내 지장물 보상, 철도 전철화 사업, 물가상승률 등을 따져본 결과 180억 원의 추가 재원이 발생했다고 한다. 이를 90억 원씩 반반 부담하면 갈등 요인이 제거될 수 있는데 대전시 당국은 그건 곤란하다며 난색을 표명하는 상황이다.

대전시와 철도시설공단측이 추가 재원 부담 부분과 관련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십분 이해된다. 그럴수록 서로 접점을 모색하려는 자세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하고 특히 대전시의 경우 신탄진 지역 시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임을 감안할 때 상대를 협상의 테이블로 불러내야 할 책무가 더 크다. 철도시설공단도 무조건 `반타작`하자는 논리를 펴는 것은 바르지 못한 태도다. 신탄진 인입선로는 대전의 핵심 간선도로망인 국도 17선을 이용하는 시민이익을 `침범`한 측면이 있는 만큼 그에 걸맞게 처신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