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3부 김용언 기자
취재3부 김용언 기자
"공공기관을 찾아가도 답이 없어요. 분명 질 좋고 훌륭한 제품인데 통 관심을 주지 않네요…" 충청권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를 돕는 한 유관기관 직원의 한숨 섞인 푸념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경영난에 빠진 지역 중소기업들의 외마디 비명이 커지는 형국이다.

소비심리 악화로 내수는 판로를 찾기 어렵고 어려운 경영 사정을 풀어내기 위해 탈출구 찾기는 여전히 암중모색일 뿐이다. 지역 중소기업들 사이에서 나오는 `이러다 굶어죽겠다`는 절규는 이제 단말마에 가깝다. 막힌 혈을 뚫기 위해 지역 중소기업들은 지자체와 공공기관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한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판로 지원을 위해 각 중소기업협동조합으로부터 추천받은 업체의 제품을 공공기관과 수의 계약하는 `조합추천 소액수의계약 제도`가 버팀목이다. 이를 근거로 지역 중기중앙회와 산하 협동조합 관계자들은 충청권 지자체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제도 취지를 설명하고 적극적인 동참을 권유하고 있다.

문턱이 닳도록 제도를 알리고 있지만 정작 구매담당자들의 관심이 낮은 게 문제다. 올해 들어 지난달 까지 해당 제도 활용 실적이 4건에 그쳤다고 하니 `유명무실`이 더 적합하다. 모두 어려운 상황에 무조건 중소기업 제품을 구매하라고 공공기관 등을 채근하는 건 무리일 수 있다.

하지만 관(官)조차 중소기업 제품을 활발하게 구매하지 않는데, 민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기를 기대한 것 또한 어불성설이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구매 관계자들에게는 기업과는 다른 책임감이 필요하다. 국민 세금으로 사는 물건은 고품질의 행정 서비스로 국민에게 되돌아간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책임감이 기업보다 무겁다. `중소기업이 만든 물건은 품질이 떨어져`, `납품 실적이 별로야` 등의 무관심은 책임감이 없다.

발버둥치는 지역 중소기업들의 사기를 바닥에 떨어뜨리는 언행이다. 중소기업 제품 구매는 경제계 양극화 문제를 해소할 뿐 아니라 코로나 위기 속에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새로운 대안이 된다. 어려움에 빠진 중소기업을 돕기 위한 정부의 멍석 깔기는 이미 마쳤다. 이제 구매하면 된다. 충청권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분발이 필요하다. 취재3부 김용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용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