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정무부시장이 교체되는 모양이다. 자연스레 허태정 시장 체제의 세 번째 정무부시장 등장이 예고된다. 자리가 비면 채워야 하는 게 이치다. 임기 반환점을 돌고 있는 허 시장은 2명의 정무부시장을 발탁해 같이 일할 기회를 가졌다. 첫 번째 주자는 박영순 의원(대전 대덕구)이었고, 최근 사의를 표명한 김재혁 정무부시장이 그 뒤를 이어 1년 가량 자리를 지켜왔다. 8월은 정무부시장직 주인이 바뀌는 달처럼 된 셈이다.

정무부시장 인선도 선출직 광역단체장의 고유 인사 영역이기 때문에 시장마다 사람 보는 안목과 기준이 똑같을 수는 없다. 대전시 정무부시장 자리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허 시장의 선택과 결심 여하에 따라 기회를 부여받는 것이고 그동안의 사례를 통해 허 시장의 인사 스타일이나 인재 풀 등을 어느 정도 가늠하는 일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박 의원이 정치적 라이벌을 품은 케이스에 해당한다면 그의 후임인 김 부시장은 실물경제 분야에서 모종의 역할을 하며 성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었다. 그런 그가 이제 직을 떠나게 된 마당인데, 특이하게도 대전시 산하 공기업 임원 모집에 응모절차를 밟고 있다는 점이다. 결과는 예단할 수 없지만 정무부시장에서 지방공기업 사장으로 `환승`에 성공한다면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아리송하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그의 행보와 관련해 이런저런 의문점들이 솟는 것도 그래서다. 우선 성공적인 정무부시장직을 수행했는지, 그렇다면 임용권자가 더 붙잡고 있어야 맞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희망 하는 자리에 진출하면 감춰진 또 다른 역량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인지 등은 시민들로서 궁금해 할 만한 지점들이라 할 것이다. 이는 허 시장을 향한 질문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는 노릇이다. 어느 누구의 정무부시장 기용은 상응한 성과를 가정한 상태에서 시민들과의 사회적 계약이 개시되는 것이라 해도 틀리지 않는다. 이때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면 능히 검증된 재목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대전시의 역대 정무부 시장 연표를 보면 보편적으로 그 시기에 써봄 직한 인사들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정무통, 경제통, 문화예술 분야 엘리트 관료 등 브랜드가 뚜렷한 이들이 명멸했다. 대전시는 이 밑바탕을 관통하는 보편 가치를 염두에 둘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