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 소재한 한전원자력연료 공장에서 엊그제 육불화우라늄(UF6) 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있었다. 일단 원자력연료 자체 조사 결과 공장 외부로 가스 누출이 없었고, 방사선 피폭 선량도 기준치에 미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작업자 2명이 다쳐 1명은 화상을 입어 화상전문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고, 다른 1명은 퇴원했다. 이들 2명 모두 방사능 피폭검사 결과 특이한 소견이 없어 그나마 다행이지만 아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국내 원자력연료 전량을 제조·공급하고 있는 공기업에서 이런 사고가 일어난 것이 한두 번이 아니라는 점에서 문제는 심각하다. 보다 철저한 안전관리와 진상규명을 통해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하겠다.

대전은 원자력연료뿐만 아니라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원자력시설이 밀집돼 있는데다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원자력연료에서는 지난 2018년 5월에도 폭발사고가 일어나 6명이 다친 바 있다. 인근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도 지난해 말 방사성 물질 하천 유출, 2018년 1월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설 화재 등의 사고가 있었고, 2016년 9월에는 제염실험에 쓴 콘크리트 등 방사성 폐기물 처분 절차를 지키지 않고 무단으로 폐기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문제는 원자력시설의 사고가 너무 잦다는 것과 함께 이들 사고의 대부분이 관리 소홀이나 운영 미숙 등 인재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점이다. 앞서의 사고들은 모두 아주 작은 방심에서 비롯된 것으로 밝혀졌다. 원자력연료는 사고 발생 시 대전시에 신속히 통보한다는 원자력 안전협약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통보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상황이 발생하면 재난방송이나 문자 등 사후조치가 신속히 이뤄져야 시민들도 대처가 용이하다. 상식을 도외시한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처사다.

대전 원자력시설 소재지는 예전엔 외곽이었지만 이젠 도시 확장으로 인근에 대단위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3만여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도심으로 변했다. 사고가 일어나면 피해가 광범위하고 치명적이라는 점에서 보다 철저한 안전대책이 요구된다. 항구적인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선 이들 시설을 폐쇄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겠지만 현실의 벽은 높다. 그게 아니라면 사고 발생 시 철저한 진상규명과 함께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는데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