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기자
이정현 기자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다시 정국을 휩쓸고 있다.

노무현 정권부터 구체화하기 시작한 행정수도 이전은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정권교체와 맞물린 정치적 이해관계에 부딪혀 좌절됐다.

가까스로 출범한 세종시는 결국 반쪽자리 행정중심복합도시에 그쳐야 했고, 출범 목적인 국가균형발전의 가치는 묘연해졌다.

세종시 출범 후 8년.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다시 행정수도 이전 카드를 꺼내 들었다.

그 저의가 무엇이건 `행정수도 완성`을 염원하는 지역민들의 가슴은 다시 뛰고 있다.

직접당사자인 세종시 외에도 전 충청권이 지원사격에 나섰다.

이번에야말로 정치논리에 휘둘리지 않는 오직 국가 백년대계를 위한 대승적인 결단이 이뤄져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확산하는 분위기다.

행정수도 이전은 한 나라의 수도를 옮기는 것에 버금가는 일이다. 특정지역·특정세력만이 아닌 국민적 공감대 속에서 실현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 첫 발도 떼지 못한 행정수도 이전 논의에 또 다시 `지역이기주의`의 어두운 그림자가 음습하는 모양새다.

집권여당 원내대표의 행정수도 이전 발언 직후 대전시장은 200만 도시로서의 위용을 갖춰 진정한 행정수도로 거듭나자며 세종시에 `행정구역 통합`을 제안하고 나섰다.

세종시 출범의 절대 지분을 주장하는 공주시장도 "행정수도는 세종시 경계 안에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세종시의 행정수도 역할을 공주시로 확대하자는 `행정수도권 개념`을 들고 나왔다.

당장 내색은 하지 않지만 충북에서도 일찌감치 손익계산서 뽑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저마다의 명분은 있다.

하지만 전 국민적 공감대가 바탕이 돼야 할 일에 벌써 지엽적인 실리를 찾으려는 일부 지자체의 `과속`이 자칫 국가 중대사를 그르칠까 걱정이 앞선다.

성급함은 일을 그르친다. 이제 갓 시작한 행정수도 이전 논의가 충청권의 이기주의정도로 비쳐져 국민들로부터 외면 받는 일이 없길 바란다. 이정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정현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