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를 팔아 대학에 보냈다고 했다. 옛 시절 어른들이 한 얘기다. 당시 대학의 위치와 의미가 그랬단다. 가계 재정의 대들보인 소를 판다는 게 쉬운 일이었겠는가. 눈으로 보진 못했어도 아마 그것이 대학 등록금의 무게이자 가치였을 것이라 생각했다.

근래 이 등록금을 두고 대학이 시끄럽다. 코로나 19 때문이다. 학생들은 비대면(온라인)수업으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으니, 등록금을 돌려달라고 목소리를 키웠다. 강의료는 비대면 수업이라도 들었으니 차치하더라도, 시설 이용 제한에 따라 교내 시설을 이용하지 못한 게 흠으로 작용했다. 그럴 만했다. 혹자는 "식당에 미리 계산을 하고 음식까지 예약해 놨는데, 환불도 없이 가지도 못하고 음식은 택배로 받은 꼴"이라고 비꼬았다.

학생들은 목소리를 행동으로 옮겼다. 어떤 이들은 등록금 환불을 요구하며, 경북 경산시청에서 정부세종청사까지 230㎞를 종주하기도 했다. 대전에서는 지난 13일 충남대, 대전대, 목원대, 배재대, 건양대 등 대학 5곳 총학생회가 한 자리에 모여 등록금 반환을 촉구했다.

결국, 일부 대학은 등록금 반환을 결정했다. 대체로 등록금의 10%를 특별장학금으로 지급하는 방안으로 가닥을 잡는 모양새다. 충남대, 한밭대도 사실상 등록금 환불을 결정짓고 구체적인 방안, 시기를 검토하는 중이다. 한남대는 1인당 특별장학금 20만 원을 지급키로 결정했고, 목원대도 환불 방식을 달리했을 뿐 비슷한 과정을 거치고 있다. 물론, 아직 등록금 환불에 고개를 내젓는 대학도 남아 있다.

등록금 환불 기류에 동참하는 대학이 점차 늘고 있다는 점은 학생들에게 다행스러운 일이다. 허나, 아쉬움은 남는다.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 환불 금액과 여론만 살피다 뒤늦게나서야 결정을 내린 대학의 모습이다.

대학은 등록금 의존율이 높은 상태에서 장기간의 등록금 동결이 재정 여건을 악화시켰다고 변을 했다. 그리고 방역과 비대면 강의 시스템 구축에도 꽤 많은 비용이 투입됐다고 덧붙였다. 등록금을 인상했다면, 이번과 달리 호쾌하게 등록금을 환불해줬을 것인가. 이해는 하는데 설득은 되지 않는다. 취재 3부 김대욱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