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청 [사진=대전일보DB]
대전광역시청 [사진=대전일보DB]
대전시는 16일 정부에 `대전 혁신도시` 지정을 신청한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5년 국가균형발전을 목표로 시작된 `혁신도시 시즌1` 이후 15년 만에, 대전 혁신도시 추가 지정 대정부 건의 1년 6개월 만에 내미는 도전장이다.

정부대전청사 등이 있다는 이유로 혁신도시 지정에서 배제돼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의 낙수효과를 누리지 못한 시측은 혁신도시 지정을 통한 설욕전을 다짐하고 있다.

대전시는 이날 국토교통부와 협의를 거쳐 완성한 혁신도시 지정 신청서와 심의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다. A4 용지 20장 가량의 심의자료에는 대전 혁신도시 지정의 당위성과 필요성, 개별입지, 지역균형발전 방안 등이 세부적으로 담겨있다.

그간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을 제외하고 전국에 조성된 10개 혁신도시로 153개 공공기관이 터를 옮겨 지역인재를 채용하고 이들 기관이 납부한 지방세가 지난해 기준 4228억 원에 달해 막대한 세수를 올리는 동안 혁신도시 없는 대전은 지역·경제적 역차별을 받았다.

대전시는 역차별 해소라는 당위성과 함께 전국 최초로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새로운 혁신도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지난 5월 대전시는 동구 대전역 주변 역세권지구를 중소기업·교통·지식산업 관련 클러스터로, 대덕구 연축동 일원 연축지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대덕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한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만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두 지역을 혁신도시 입지예정지로 발표한 바 있다.

대전에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역세권과 연축지구가 혁신도시로 조성되면 도시재생과 동·서 균형발전 측면에서 혁신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고 원도심 활성화와 도시경쟁력이 제고될 것이란 논리다. 새로 개발한 신도시에 입주한 전국 혁신도시와 차별화를 꾀하면서 정주여건이나 도시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이전공공기관 임직원과 가족 이주율이 낮다는 혁신도시의 한계도 보완한 것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7일 김사열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만난 직후 "김 위원장이 전체적으로 대전의 혁신도시안이 마음에 든다고 했다. 신도시 개발 중심이 아니라 기존 도시를 재생하는 차원에서 도심내 균형발전 전략을 갖고 접근하는 건 좋은 방향이라고 했다"며 "`잘 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혁신도시 지정 여부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하며 2-3개월내 결론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문승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