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균형발전법개정안이 시행된 가운데 오늘 충남도가 국토부에 내포신도시의 `충남 혁신도시` 지정을 신청한다. 혁신도시로 가는 여정의 첫걸음을 떼는 일이고 신속한 일 처리가 돋보이는 듯하다. 역세권과 대덕구 연축지구 2곳을 혁신도시 후보지로 선정한 대전시도 이달중 혁신도시 지정 관련 신청서를 제출할 것이 확실하다. 이제부터는 `혁신도시 시간`이다. 유종의 미를 거두려면 첫 단추를 잘 꿰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하지 않을 수 없다.

당연한 얘기지만 대전·충남은 혁신도시 지정을 받고도 남을 만큼 최적의 입지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 준비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균형발전 정책 가치를 실증할 혁신도시 발전전략과도 잘 맞아떨어지는 곳이 대전의 혁신도시 후보지들이고 충남의 내포신도시 경우도 두말이 필요하지 않은 `예비 혁신도시`라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특히 대전의 혁신도시와 충남의 혁신도시가 갖는 변별성도 주목되는 지점이다. 기존의 1기 혁신도시들은 출발 때 모습과 현재의 성과간에 다소간 괴리가 있다는 정책적 분석 비평이 제기도 한다. 이게 어떤 보편적 현상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섣부르다. 다만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소개시키는 것과 혁신도시를 단순 동일시하는 상황에서 순기능과 역기능의 출동 현상이 관찰되는 것은 부정하기 어려워 보인다.

반면에 대전·충남 혁신도시 예정지구들은 혁신도시로 키우는 데 최적의 환경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전 역세권과 연축지구가 혁신도시로 지정되면 도시재생의 새 모델이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고 충남 내포시는 사실상 혁신도시나 마찬가지로 본다. 행·재정적 지원이 따르고 일단의 공공기관들을 유치해 거점자산을 확장시키게 되면 인접 시·군들과도 유기적으로 결합돼 혁신도시 시너지 효과를 공유할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대전·충남의 사정과 현실을 국토부는 물론, 혁신도시 지정 심의·의결권을 쥐고 있는 균형발전위원회가 제대로 인식하도록 하는 것은 대전·충남의 몫이라 할 수 있다. 혁신도시 지정 신청서 등 자료 전반의 완성도가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와 병행해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전력투구해야 한다. 행정 영역이 전위에 서되 지역 인적 역량도 요소요소에서 분위기를 다잡아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